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비즈] 스마트시티 기술을 통한 안전도시 구현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급속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인한 지하공간 활용 증가 등으로 재난은 대형·다양·복합화됐다. 여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거치면서 재난은 이제 특정 지역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세계화적인 성격으로 변모했다. 새로운 유형의 신종 복합 재난은 감염병(팬데믹)·에너지·통신·교통·금융 등 국가 기반 체계 마비 및 사회 전반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언택트(비대면·비접촉)가 대표적이다. 이런 변화는 단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New Normal·새로운 일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뉴노멀 시대의 재난 대응을 위해 기존 인프라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스마트시티기술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란 ICT를 기반으로 다른 산업 간 융합을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산업을 만들거나 관행과 고정관념에서 탈피해 창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정보통신, 산업, 재난·안전 분야 등에 접목돼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지역 혁신플랫폼 또는 시스템으로, 시민·지방정부·공무원·민간 기업 등이 협력적 관계로 도시 문제를 해결한다. 또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재난·안전, 환경, 에너지, 도시 기반시설 및 건물의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개발하는 집단지성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이것은 도시 문제의 주요 해결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ICT 융합 기반의 범국가 안전혁신을 위한 전략을 확대하고 민간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위험 예측·대응 체계 구축 및 지역 안전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한국도 사회·행정 환경의 변화가 급변하는 행정의 패러다임과 초연결·융합·지능화 등 ICT 신기술의 출현, 데이터 가치 및 활용성 증대 등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재난안전관리를 대응·수습 중심에 초점을 맞춰왔다. 실무에서 아무리 예방·대비를 잘해도 칭찬받지 못하는 이유는 예방·대비는 편익으로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재난안전 선진국들은 대응·수습보다 예방·대비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투자해 재난에 강한 사회를 구현함으로써 더 큰 편익을 챙기고 있다. 재난의 위험 요인을 사전에 해소하는 예방 중심의 선제적 재난관리 체계가 사후 수습에서 얻는 이익보다 더 큰 편익을 가져온다는 정부와 국민의 인식 전환이 선행돼야 한다. 정책적으로는 한발 앞선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

지난 2018년 한 달 간격으로 발생한 밀양 세종병원과 서울 세브란스병원에서의 화재가 선제적 재난관리의 대표적 사례다. 둘 다 병원에서 발생한 화재지만 사망자는 47명 대 0명으로, 피해 규모가 확연하게 차이가 났다. 이는 센서를 통한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의 작동과 정확한 정보 전달에 의한 신속한 대응의 결과로, ICT 융합 방재시설에 대한 투자와 신속한 대응을 통해 피해를 경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다.

미국 소설가이자 사회비평가인 마크 트웨인은 “재난이 일어날 것이라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 아니라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거라는 막연한 믿음 때문에 위험에 처하게 된다”고 했다. 재난 안전은 정부나 전문가 또는 누구 한 명의 노력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현장에서 작동하는 재난대응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형 상황관리를 위해 재난 상황 정보를 공유하고, 재난 시 현장투입자원 동원 및 공동 활용을 극대화해야 한다.

아울러 대응 매뉴얼의 현장 작동성을 높이기 위해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 대응 체계 구축에도 관심을 둬야 한다. 즉 중앙정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주민의 협업이 필요하다. 스마트시티기술을 기반으로 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가 자리 잡기를 기대해본다.

김하룡 LH토지주택연구원 건설기술연구실 책임연구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