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日 대화 나섰지만...현안·대북정책 ‘평행선’
정의용, 취임 후 모테기 첫 대면
오염수·위안부 여전한 입장차이

미국의 강력한 권고로 성사된 한일 외교장관회담은 입장차만 확인한 채 막을 내렸다.

일본은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의에서 북한의 ‘모든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폐기(CVID)’라는 표현을 고집해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정면충돌까지 예고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가졌다. 정 장관 취임 이후 첫 만남이었다. 양 장관은 첫 만남이 무색하리만큼 현안을 두고 평행선을 달렸다. 양국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강제징용 피해자 소송 문제, 그리고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 등을 놓고 각자의 입장만을 재확인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검토를 마친 대북정책 해석을 두고도 양국은 결이 달랐다. 모테키 외무상은 자신의 주도로 G7 외교장관들이 “북한의 CVID라는 목표를 견지하기로 합의했으며, 납치문제의 조기해결에 대해서도 동의했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은 북한이 CVID 표현에 거부감을 느끼는 것을 고려해 미국에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표현을 사용하자고 제안해왔다. 미국은 지난달까지만 해도 ‘북한의 비핵화’를 고집했지만 대북정책 검토를 마치면서 입장을 바꿨다.

모테기 외무상은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등에서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서도 “미일 외교장관은 ‘북한의 비핵화’에 의견을 같이했고, 기본적인 아이디어에 대해 한미일도 의견이 일치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연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