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특수에 요금인상-객단가 옵션까지…골프장 고수익행진, 골퍼들은 불만 폭증
주말 그린피 30만원 육박, 캐디피 카트피 포함땐 큰 부담
객단가 옵션도…회원제 뺨치는 대중골프장 가격도 논란
코로나로 특수를 누리고 있는 골프장의 요금이 계속 천정부지를 기록하면서 골프장의 수익은 역대급 호황을 기록하는 반면 골퍼들의 불만은 증폭되고 있다.[사진은 기사내용과 관계없음]

[헤럴드경제=김성진 기자] “이 돈이면 제주도 여행을 가겠다.”

지난해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사태가 좀처럼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누구도 예상못한 '코로나특수'를 누리고 있는 곳이 바로 국내 골프장들이다. 방역강화로 인해 해외여행은 물론 신체접촉이 불가피한 스포츠동호회 활동이 대부분 제한된 가운데 골프는 4인(캐디포함 5인)이 한팀으로 라운드가 가능해 골프장을 찾는 골퍼들은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현재 국내의 골프인구는 470만~500만명 정도이며, 지난해 연인원 약 4600 만명 이상이 라운드를 한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올해는 50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하지만 골프장의 숫자는 제한적이고 치려는 골퍼들은 많다보니 수요와 공급의 균형은 이미 깨진지 오래, 모든 칼자루는 골프장이 쥐고 있는 상황이 됐다. 거의 모든 티타임이 모두 팔려나가고 지난해 그린피와 캐디피, 카트이용료 등을 대부분 올린 골프장들은 유례없는 매출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코로나로 다들 힘든 시국에 '물 들어올 때 노젓는다'는 비난을 의식해 표정관리를 해왔던 골프장들도 있었지만, 이제는 언제 그랬냐는듯 힘차게 노를 젓고 있는 상황이다.

한창 골프치기 좋은 계절이 되면서 라운드 비용은 코로나 이전에 비해 상당히 올랐고, 설사 돈이 있어도 예약자체가 하늘의 별따기라 골퍼들 사이에 불만이 커지고 있다. 금전적,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해외원정골프를 다니던 계층까지 국내에 남으면서 골프장 이용객과 이용빈도는 급증했다.

수도권 인근 골프장의 경우 평일 19~25만원대인 곳들이 주말이면 23~30만원까지 올려받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골퍼들이 가장 불만으로 꼽는 카트피가 8만원에서 9만원을 넘어 이제는 10만원이 대세가 됐다. 골프장 호황과 맞물려 몸값이 치솟은 캐디들의 캐디피도 12만원에서 사실상 14만원으로 굳어졌다. 2019년 만해도 1회 라운드 비용이 20만원이면 충분했지만, 이제는 어지간한 곳만가도 35만원은 잡아야한다.

뿐만 아니라 과거 비선호 시간대를 패키지로 팔았던 연단체 계약팀들도 이제는 1인당 객단가 2~4만원을 쓴다는 조건을 받아들여야 부킹을 할 수 있다. 골프장들이 대다수다. 주중회원권을 가진 회원의 주중 부킹을 '40일간 6회' 등으로 제한하는 곳도 있다. 주중-주말, 시간대 정도로 차등요금을 적용하던 골프장들이 이제는 더 세분화해서 최고의 가격을 받고 있다. 경기도의 한 골프장은 '일자별, 시간대별, 코스별, 기후별 실시간 차등 그린피시스템을 운영중이며, 예약시점, 예약률에 따라서도 최적의 요금으로 운영된다'고 공지했다. 누구에게 최적의 요금인지는 굳이 알아볼 필요가 없을 것이다.

동호회 등을 통해 주중에 주로 라운드를 한다는 이 모씨(53)는 “불과 2년전에는 주중에 충청권만 가면 그린피, 캐디피, 카트피를 1인당 15~17만원 정도면 라운드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주말 꼭두새벽 시간도 그린피만 28만원이 넘는다. 주말 황금시간대 같은 경우는 아예 포기해야한다. 지금 금액대에 주말 라운드를 하느니 차라리 제주도 여행을 가는게 나을 것 같다”고 말했다. 사업가 김모씨(51)는 “전에는 라운드 끝나면 캐디에게 추가로 성의를 보이기도 했는데 이제 그런 건 부담스럽다. 또 단체예약 라운드의 경우 클럽하우스, 그늘집 이용 조건에 객단가 4만원 같은 옵션을 거는 곳도 늘어난 실정”이라고 불만스러워했다.

이런 현상에 대해 골프장만을 비난할수 있느냐는 시각도 없지는 않다.

코로나시국에 특수를 맞아 최대수익을 올리려는 것이 '도의적'으로는 비판받을 수 있을지 몰라도, 시장경제의 논리로 보면 공급이 수요보다 부족할 때 가격이 올라가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그 가격을 납득하기 어렵다면 이용자가 줄고, 수요가 줄면 골프장들이 가격표를 고칠 수 밖에 없지 않느냐는 것. “광풍이 지나갈 때까지 등산이나 다닐까 한다”며 씁쓸해하는 골퍼들도 적지않다. 한우가 비쌀때 돼지고기를 먹고, 해외여행이 비싸면 국내여행을 하듯이 말이다. 하지만 골프라는 종목의 특성상 스크린골프 정도를 제외하면 대체제를 찾기 마땅치 않다는게 골퍼들의 불만이다.

특히 골프 대중화를 위해 '대중골프장'이라는 간판을 걸고도, 회원제를 능가하는 고가의 그린피를 받는 곳들에 대해 불만이 몰린다. 스크린골프가 확산되면서 골프에 입문하는 진입장벽이 많이 낮아졌고, 젊은 골프동호인도 늘어나는 상황에 적당한 가격의 대중골프장이 많아졌다면 장기적으로 골프저변 확대가 자연스럽게 이뤄졌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회원제보다 더 많은 세제혜택을 받으면서도 고가 정책을 유지하는 대중골프장에 대해서 관련 감독기관의 적절한 과세나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높다.

지난 10년간 78곳의 회원제 골프장이 대중골프장으로 전환되었고, 2011년 169곳에 불과했던 대중골프장이 325곳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대중골프장에 대한 세금 감면도 추진돼, 2019년 말 기준으로 정부가 대중골프장에 깎아준 세금이 7000~8000억 원에 달한다.

지난 1월 기재위 양경숙 의원과 문화관광위 김승원 의원이 공동주최했던 '대중골프장 '실태고발' '대책마련'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도 세금혜택만 있고 이에 대한 법적 규제가 없는 대중제 골프장에 대한 대책 강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골프의 대중화'를 위해 세제혜택도 제공하는데 대중이 다가가기에 힘든 상황이라면 제도적인 보완이 시급해보인다.

withyj2@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