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높은 사전투표율=민주당 승리’ 공식도 깨졌다
재보선 역대 최대 사전투표율에도
국민의힘, 서울·부산서 모두 압승
2030 젊은 유권자들 '분노의 심판'
4·7 재보궐선거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지난 3일 오전 서울역에 마련된 남영동 사전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재보궐선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높은 사전투표율도 이번엔 더불어민주당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다. 최근 몇년간 선거에서 '높은 사전투표율=민주당 승리'로 이어졌던 공식이 이번 선거에서 깨진 셈이다.

정치권에서는 20~30대 젊은 층 유권자들이 사전투표를 선호하기 때문에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민주당에 유리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실제 26.06%의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지난 2017년 대선에서 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당선됐고, 20.14%를 기록한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이 광역단체장 17석 중 14석을 석권했다. 역대 최고인 26.69%를 기록한 지난해 총선 역시 민주당이 180석을 차지하며 대승을 거둔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재보선에서는 젊은 2030 민심이 민주당이 아닌 국민의힘 쪽으로 크게 기울면서 높은 사전투표율이 민주당의 패배를 막을 수 없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사전투표율이 20.54%로, 역대 재보선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여야는 각자 자신에게 유리할 것이란 해석을 내놓은 바 있다. 민주당은 그동안 여론조사에서 잡히지 않던 '샤이 진보'가 대거 투표장으로 향했다는 기대감을 표시했고, 국민의힘은 정부·여당에 분노한 20∼30대가 사전투표장으로 대거 향했다고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야당의 분석이 들어맞았다고 볼 수 있다. 샤이 진보보다는 '정부심판 여론'이 더 강하게 움직인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탄생을 이끌었던 젊은 유권자들이 이번에는 ‘분노의 표심’ 부메랑으로 돌아온 셈이다.

이번 재보선에서 야당이 전과 달리, 사전투표를 적극 독려했다는 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국민의힘이 참패한 지난해 총선에서 야권 일각과 극우 유튜버들을 중심으로 부정 개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사전투표를 꺼리던 보수 유권자들이 이번에는 사전투표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입장문을 내고 “본 선거일은 공휴일이 아니기에 사전투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사전투표에 대한 일각의 우려가 있지만 정권심판이라는 민심의 큰 흐름 속에서 우리 국민의 위대한 힘을 믿는다”는 메시지를 내놓기도 했다. 오세훈 후보도 본투표일에 투표하려던 계획을 바꿔 사전투표를 하기도 했다.

사전투표와 본투표를 합친 최종 투표율도 예상을 뛰어넘었다는 점도 흥미롭다. 애초 재보선은 전국 단위 선거와 달리, 본투표일이 평일이고, 사전투표제도가 자리 잡으면서 '분산 효과'가 커진 만큼 최종 투표율은 50% 내외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높은 사전투표율과 마찬가지로 본투표 역시 높은 투표율을 보이면서 최종 투표율도 58.2%를 기록하게 됐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