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낙연, 이기면 ‘기사회생’·지면 ‘패배 책임론’
적어도 한 곳은 이겨야 ‘현상유지’
두곳 전패땐 비대위 전환 가능성
쇄신론에 당·대권 구도 ‘소용돌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의 명운이 4·7 재보궐선거 결과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이 위원장은 대권주자로서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지만, 패배할 경우 당내 입지가 줄어들며 정치적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여당에 연이은 악재와 비판적인 여론을 감안하더라도 서울과 부산시장 선거 중 적어도 한 곳에서 승리해야 대권 주자로서의 입지를 ‘현상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달 9일 이 위원장이 대선 출마를 위해 당 대표직에서 물러남에 따라 김태년 원내대표가 대표 직무대행을 겸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은 ‘당 대표 궐위 시 궐위된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를 선출한다’는 규정에 따라 5월 9일께 전당대회를 개최해 새 대표 선출 작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김 원내대표도 5월 6일 임기가 끝나 같은 달 중순 원내대표 선거도 치러질 예정인데, 민주당이 패배할 시에는 전면 쇄신론이 불거지면서 원내대표 경선이 앞당겨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현재 당 대표에는 송영길·우원식·홍영표 의원이, 원내대표에는 안기백·윤호중·김경협·박완주 의원이 출마를 시사한 상태다.

민주당은 2016년 총선을 시작으로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2020년 총선까지 내리 4연승을 거뒀다. 이번에도 승리해 5연승을 달성한다면 이 위원장에 대한 리더십이 공고화돼 향후 대권 구도는 이낙연-이재명 양강구도로 형성될 가능성이 크며, 당내 친문 진영의 결속 강화와 대통령 지지율 반등도 노릴 수 있다.

반면 선거 직전 여론조사 결과처럼 큰 차이로 서울과 부산에서 모두 패할 경우, 현 지도부 총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위기에 처한다. 부동산 정책, 검찰 개혁 등 여권이 중점 과제로 추진해온 개혁 입법에도 상당한 저항이 예상된다.

특히 이 위원장은 선대위 수장으로서 책임을 져야하는데다, 선거 직전 대권도전을 위해 당 대표를 내려놓은 명분도 비판받을 수 있다. 또한 지난해 민주당 대표로 당헌·당규를 개정해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와 김영춘 부산시장 후보를 공천한 책임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기고 지느냐, 그리고 지더라도 어느 정도의 격차로 지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재보선 결과가 윤곽을 드러낸 이후 최고위원회를 소집해 1차로 수습책을 논의하고, 이르면 8일께 의원총회를 열어 향후 당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호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