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 여파로 전남 시내·시외버스 운행중단 위기
전남지역 노선을 운행하는 시외버스들이 광주종합터미널에 주차돼 있다. [전남버스운송조합 제공]

[헤럴드경제(광주)=박대성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정부가 국민들의 외출자제와 대중교통 이용제한을 권고한 이후 버스승객이 급감하자 운수업계가 정부에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나섰다.

전남버스조합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1년 동안 전남 시외·시내·농어촌버스 전체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121억원 감소(44.8%)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시외버스는 872억원이 감소(56.3%)해 전체 감소금액의 78%에 해당하며 지난해 11월부터 시작한 코로나 3차 대확산으로 인해 시외버스 매출액이 지난해 12월 65%, 올 1월에는 69%가 감소했다.

어려운 상황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어 시외버스를 관할하는 전라남도의 코로나19에 따른 취약노선 지원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머지않아 운행 중단 등의 사태로 인한 도민들의 불편이 우려된다고 업계는 호소하고 있다.

전라남도 버스업계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서민들의 교통편의 보장과 대중교통으로서의 공공성 유지를 위한 자구책으로 30~40% 감축운행 및 운수종사원의 유·무급 휴직 등으로 운송비용을 절감하고 있지만, 감축운행에 따른 운수종사원들의 실질적인 인건비가 약 30% 이상 감소돼 더 이상 버티기 어려운 실정이라는 하소연이다.

지난해 전국 각 도에서 코로나19와 관련한 노선버스 운수종사자들의 인건비지원 등을 위해 운송업체에 특별 지원된 현황을 살펴보면 경상북도 104억원, 충청남도 120억5000만원, 강원도 70억원, 충청북도 90억원, 전라북도 26억5000만원, 경상남도 25억원이 집행됐으나 전남에서는 취약노선 운영 유지를 위한 지원금이 집행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버스업계 관계자는 “시민들의 발이 돼 주는 노선버스의 운행중단 위기를 극복하는 것은 지자체의 코로나19에 따른 취약노선 지원에 기댈 수밖에 없다”며 “전라남도에서도 운수 종사원들의 인건비 지급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조속히 운행중단위기를 극복하는데 힘이 돼 줄 것”을 촉구했다.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