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산강환경청, 공용차량 100% 전기-수소차로 바꾼다
지난해 말 개장된 광주 벽진수소충전소 자료사진. [영산강환경청 제공]

[헤럴드경제(광주)=박대성 기자] 환경부 산하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오는 2025년까지 보유 또는 임차 사용하고 있는 공용차량 49대 모두를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이는 무공해차 대중화와 수송부문 탄소중립을 가속화하기 위해 환경부에서 올해 2월 발표한 ‘무공해차 보급혁신 방안’에 따른 것으로 지역의 무공해차 전환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공용차량의 교체는 엄격한 내용연수를 적용하므로 통상적인 절차를 따를 경우 오는 2029년에나 가능하지만 2025년까지 서둘러 무공해차로 변경해 혁신적 전환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구매·임차할 공용차량 11대를 100% 무공해차로 대체하고 차량의 용도와 내용연수 등을 고려해 연차별로 전환 목표를 설정해 2025년까지 무공해차 전환을 완료할 방침이다. 수소전기자동차가 7대이고, 전기차가 4대로 총 11대이다.

올해부터 행정·공공기관의 신규차량 중 80%이상을 무공해차로 구매·임차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영산강청은 광주전남지역의 환경 중추기관으로서 적극적 목표 설정을 통해 정부정책을 견인키로 했다.

이를 위해 부족한 충전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고 보고 상무지구 영산강유역환경청사 부지 내에 급속 충전시설 4기(동시 4대 충전)를 이달 말까지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충전시설은 무공해차 전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출장업무 불편 요소를 해소하고, 청사를 방문하는 민원인 또는 인근 주민들에게 개방하여 무공해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류연기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은 “탄소중립은 범국가적 차원의 중차대한 문제이며, 그 일환인 무공해차 전환은 선택이 아닌 속도의 문제로 모든 공공기관은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일반 시민의 적극 동참을 바란다”고 말했다.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