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김여정, 한미 2+2대화 코앞 “3년 전 봄날 없다”
文대통령 겨냥 “임기 말기 무척 고통스럽고 편치 못할 것”
美 바이든 행정부에 ‘첫 입장’…“잠 설칠 일 만들지 말아야”
통일부 “한미훈련, 한반도 군사적 긴장 고조 계기 돼선 안돼”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북한이 한미연합지휘소훈련에 반발해 대남 비난담화를 발표했다.

북한이 16일 한미연합훈련을 비난하며 남북 군사합의서 파기와 대화와 교류 업무를 하는 대남기구 정리 등 남북관계 파국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방송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낸 담화에서 한미연합훈련을 거론하면서 "남조선 당국이 앞으로 상전의 지시대로 무엇을 어떻게 하든지 그처럼 바라는 3년 전의 따뜻한 봄날은 다시 돌아오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2019년 3월 베트남 하노이 호찌민묘를 방문한 김여정. [연합]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은 16일 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게재한 ‘3년 전의 봄날은 다시 돌아오기 어려울 것이다’라는 제목의 담화에서 앞으로 남측과 협력 및 교류를 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부부장은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어진 대남대화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정리하는 일정에 올려놓지 않을 수 없게 됐다”며 대남 관련 기구들의 폐지와 남북 군사분야합의서 파기까지 거론했다. 김 부부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관련 조치들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고 언급했다.

김 부부장은 한미당국이 지난 8일부터 연합훈련을 시작한 것에 대해 “우리의 정정당당한 요구와 온 겨레의 한결같은 항의규탄에도 불구하고 차례(려)질 후과를 감당할 자신이 있어서인지 감히 엄중한 도전장을 간도 크게 내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훈련이 연례적이고 방어적이라는 우리 군 당국의 설명에는 “참으로 유치하고 철면피하며 어리석은 수작”이라며 “형식이 이렇게 저렇게 변이되든 동족을 겨냥한 침략전쟁연습이라는 본질과 성격은 달라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한 비난 발언도 있었다. 김 부부장은 “명백한 것은 이번의 엄중한 도전으로 임기 말기에 들어선 남조선 당국의 앞길이 무척 고통스럽고 편안치 못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 행정부에 대해서는 태도 전환을 촉구했다.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부부장은 “우리 땅에 화약내를 풍기고 싶어 몸살을 앓고 있는 미국의 새 행정부에도 한마디 충고한다”며 “앞으로 4년 간 발편잠(편한 잠)을 자고 싶은 것이 소원이라면 시작부터 멋없이 잠 설칠 일거리를 만들지 않을 것이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통일부는 김 부부장의 담화에 대한 논평 하지 않았다. 다만 “한미연합훈련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하는 계기가 돼서는 안된다는 게 통일부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밝혔다.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은 “조평통‧남북교류협력기구 폐지와 남북 군사합의 파기를 통보한 게 아니라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라며 “훈련이 다 끝나갈 시점에 언급한 점을 고려하면 오히려 남북관계에서 한미훈련 자체가 결정적 장애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남측을 향한 엄중한 경고의 성격”이라고 분석했다. 대미 메시지에 대해서는 “표현이 굉장히 절제돼 있다”며 “심리적 압박 의도가 있다고 본다”고 봤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도 “행동 예고보다는 한미훈련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재확인하고 한 단계 높은 수위로 경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미 2+2 대화를 앞둔 시점에 담화를 발표해 어떤 대북정책을 할 것인지 선택하라는 압박의 의미”가 있다며 “김 부부장이 실질적 대남‧대미 총책임자임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