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H 투기 후폭풍에…광주시청서도 혹시나 공무원 거래내역 봤더니

[헤럴드경제(광주)=박대성 기자] 공기업 LH(토지주택공사) 임직원들의 신도시 개발 예정지 투기행위로 말썽이 이는 가운데 광주시에서도 신도시 발표 예정지에 대한 공직자 거래내역을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다.

광주광역시 감사위원회는 지난 2월4일 국토부가 발표한 제3기 신규택지공급계획에 따라 개발계획에 포함된 광주 산정지구에 대한 공직자 투기의혹 조사결과, “투기의심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다.

광주시 감사위원회는 15일 산정지구 공직자 투기 의혹 조사 결과 2명이 해당 지역에서 거래를 했으나, 입지선정 훨씬 이전에 매도를 마쳐 투기성은 없는 것으로 결론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6년부터 현재까지 5년 동안 산정지구가 포함된 산정동과 장수동 전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전산시스템을 통해 부동산 거래내역 등을 확인한 결과 총 4000여 건의 거래가 있었고, 이중 산정지구는 402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먼저 산정지구에 해당한 402건에 대해 업무 관련자와 그 배우자 및 직계 존·비속, 시와 광산구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업무와 관련되지 않은 공직자 2명(시 1명, 광산구 1명)이 총 4건의 토지를 거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시청 직원(3건)은 2005년 6월 5000만 원에 매수한 토지(밭 123평)와 2016년 6월 이 토지의 진입도로를 마련하기 위해 1800만 원에 매수한 토지(25평)를 2018년 8월에 1억5500만 원에 매도했다.

광산구 직원(1건)은 2013년 9월에 5352만 원에 매수한 토지(논 224평)를 2017년 2월 6800만 원에 매도했다.

이는 지난 2월에 발표한(국토부) 신규택지 공급계획이나 LH가 산정지구 입지선정 시작점인 2020년 7월보다 약 4∼15년 이전에 매수해 현재는 이미 매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업무 관련자(17명)의 배우자와 직계 존·비속(71명)에 대해서도 개인정보 수집·동의를 받아 확인한 결과, 이상 거래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시는 밝혔다.

이갑재 시 감사위원장은 “이번 조사는 산정지구 내로 한정했으나, 지구 주변에서 거래된 나머지 3600여 건에 대해서도 계속 검증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