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엔 안보리, 미얀마 쿠데타 규탄 성명 합의 난항…中·러·印 ‘추가 조치 검토’ 제외 요구
[로이터]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뒤 반(反) 쿠데타 시위대를 무자비한 폭력으로 진압 중인 미얀마 군부에 대한 규탄 성명 합의에 실패했다.

10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등 상임이사국 5개국을 포함한 15개 안보리 이사국들은 미얀마 군부를 향해 폭력적인 시위 진압 자제를 촉구함과 동시에 사태 악화 시 유엔 차원의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규탄 성명을 두고 논의를 진행했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안보리 이사국 중 중국과 러시아, 인도, 베트남 등 4개국은 미얀마 사태를 ‘쿠데타’로 규정하고, 군부가 시민들에 대한 폭력 진압을 계속할 경우 ‘유엔 차원의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내용이 빠져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영국이 주도해 작성한 안보리 성명 초안에는 “미얀마 군부가 (반 쿠데타 시위대에 대한 폭력 진압 등의) 행동을 최대한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며 “유엔이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으며, 추가 조치를 검토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앞서 지난달 2일 유엔 안보리는 미얀마 쿠데타가 발생한 다음날 긴급회의를 열었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군부를 규탄하는 성명조차 내지 못한 바 있다.

스테판 두자릭 유엔 대변인은 “모든 유엔 회원국들은 (미얀마 사태에 대해) 개별 국가별, 그리고 집단적으로 해야할 역할이 있다”며 “안보리가 강력한 목소리를 내줄 것을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규탄 성명조차 유엔 안보리의 벽을 넘지 못하면서 제재 등 적극적인 대응에 대한 가능성에도 회의적인 시선이 커지고 있다.

토머스 앤드루스 유엔 미얀마 인권 특별 조사관은 지난 4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미얀마 군사정부의 반(反)쿠데타 시위대 유혈진압을 막기 위해 표적 제재, 무기 금수, 국제형사재판소(ICC) 회부 등 강력하고 통일된 행동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그는 유엔 회원국에는 미얀마 군부를 합법적인 정부로 인정하지 말 것도 촉구했다.

하지만, 유엔 외교가 관계자는 “미얀마 군부에 대한 제재는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가 확실한 만큼 현실화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