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野 부산시장 경선 첫 TV토론 ‘후끈’…승자는 박민식·박형준
박민식·박성훈, 부산경제 놓고 설전…단일화 제안도
박형준·이언주, 과거 행보 놓고 공방…비방전 양상
15일 오후 부산MBC를 통한 국민의힘 부산시장 본경선 후보 간 TV 토론회 시작에 앞서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성훈, 이언주, 박민식, 박형준 후보.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국민의힘 부산시장 예비후보들이 15일 본경선 1차 맞수(일대일)토론에서 격돌했다. 토론 결과 박민식 예비후보는 박성훈 예비후보에게, 박형준 예비후보는 이언주 예비후보를 상대로 각각 승리했다.

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회는 이날 오후 부산MBC에서 중계한 ‘부산을 바꾸는힘 제1차 맞수토론’ 직후 진행한 ‘토론평가단’ 평가에서 이같이 선택됐다고 밝혔다.

공관위는 본경선 경선토론회서 당원과 시민 1000명으로 구성한 ‘토론평가단’을 운영한다. 평가단은 토론회 직후 ARS 투표를 통해 토론을 잘한 후보를 선택하게 된다.

1부에서 맞붙은 박민식 후보와 박성훈 후보는 부산경제 활성화 방안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기획재정부, 청와대, 세계은행을 거쳐 직전까지 부산시 경제부시장을 지냈던 박성훈 후보는 “문재인 정부 경제 폭정의 결과로 부산 경제가 어렵다”며 “젊고 새로운 인물이 부산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 지역구 재선 국회의원인 박민식 후보는 “공무원 스타일의 모범생 리더는 안 된다”며 “북극해에 풍덩 뛰어들고, 에베레스트산도 올라갈 리더가 필요하다”고 맞섰다.

15일 오후 부산MBC를 통한 국민의힘 부산시장 본경선 후보 간 TV 토론회 시작에 앞서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은 박성훈 후보(왼쪽)와 박민식 후보(오른쪽). [연합]

박민식 후보는 문재인 정부가 선거 이후 가덕신공항을 추진하지 않으면 본인이 부산시장에 당선되더라도 사퇴하겠다는 의사도 내놨다. 그는 또, 토론 도중 박성훈 후보에게 “젊은 부산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일화가 필요하다”며 “단일화 어떻게 생각하나”고 단일화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박성훈 후보는 이에 “명분 없는 단일화, 인위적이고 정치공학적인 단일화는 생각해본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자신이 기성 정치인과 전혀 다른 새로운 인물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부산 경제를 살릴 골든타임 1년을 맡겨달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이어 진행된 맞수토론 2부에서는 박형준 후보와 이언주 후보가 맞붙었다.

이 후보는 박형준 후보의 이명박(MB) 정부 당시 청와대 재직시절 가덕도 신공항이 무산되자 '“잘못된 정책 바꾸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한 발언을 고리로 칼을 빼들었다. 이 후보는 “과거 정권에서 책임 있는 사람이 선거에 나오면 그 책임을 져야 하는 선거가 된다”며 박 교수 출마 자체를 문제 삼기도 했다.

박형준 후보는 “이제 친이니, 친박이니 하는 구도를 벗어나야 한다”며 “과거 보수 정권에서 일했다는 이유로 그 사람이 문제가 있다고 하면 안 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언주 후보도 민주당에서 2번이나 국회의원을 했고, 탄핵에도 앞장서지 않았느냐”며 “(이런 점을 들어) 본인이 문재인 정권 탄생에 책임이 있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 않나”고 반문했다.

15일 오후 부산MBC를 통한 국민의힘 부산시장 본경선 후보 간 TV 토론회 시작에 앞서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은 박형준 후보(왼쪽)와 이언주 후보(오른쪽). [연합]

박형준 후보와 이 후보는 상대의 과거 행보를 두고 날선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이 후보는 박형준 후보가 국회의원 시절 사행성 게임과 관련한 해외 출장을 갔고, 실명까지 언급하며 관련 업계 관계자가 현재 캠프에 있다는 점을 거론했다. 이에 박형준 후보는 “잘못하면 허위사실 공표가 된다. 실명을 거론해서 누군가를 공격하는 것은 굉장히 부적절한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사회자가 수차례 “부산시정을 논의하는 자리다. 부산의 미래를 위한 비전을 말씀해달라”며 중재에 나섰으나, 둘 사이 토론이 비방전 양상으로 흘러가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국민의힘 부산시장 본경선 TV 토론회는 이날을 포함해 오는 18일과 22일 일대일 토론 3번, 오는 25일 4명 모두가 참여하는 합동토론회 1번으로 치러진다. 이후 여론조사를 거쳐 3월 4일 최종 후보자를 발표한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