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언론 "한국-중국 '김치의 왕' 가리기 불필요" 주장 왜?
中대사 김치 사진에 "김치 흔한 랴오닝 출신"
중국 내 조선족 문화를 중국 문화로 포장
중국이 김치를 자국 문화의 일부로 편입하고자 하는 가운데 북한의 류경 김치공장에서 지난달 김치를 담그고 있는 모습.[AP]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중국이 김치를 중국의 것인 것처럼 국제 여론을 호도하다가 한국이 거세게 반발하자 중국 언론이 나서 '김치의 왕'이 누구인지 가리는 것은 불필요하다며 치고 빠지는 형세다. 그러나 중국에도 조선족 거주 지역 등에 김치가 있다며 김치가 중국의 것이 될 수도 있다는 저의를 우회적으로 드러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발행하는 환구시보의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14일 한국 누리꾼들이 장쥔(張軍) 유엔 주재 중국 대사의 트위터에 몰려가 김치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있다며 이렇게 보도했다.

공산권 국가에서 신문은 정부나 당의 논조를 우회적으로 전달하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된다. 중국 당국이 김치 논쟁으로 머쓱해지자 '2중대'격인 언론을 가동해 수습에 나선 양상이다.

앞서 장 대사는 지난 3일 자신이 갓 담근 김치를 놓고 엄지를 치켜든 장면을 트위터에 올렸다. 그는 "겨울 생활도 다채롭고 즐거울 수 있다. 한 가지 방법은 손수 만든 김치를 먹어보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중국 언론이 지난해 11월 김치의 기원 논쟁을 벌이며 한국 여론을 쑤셔놓은 데 이어 중국 대사가 김치를 운운한 것이 우연은 아닌 것으로 여겨졌다. 미중 대결 구도에서 이 장면이 해석되기도 했다.

지난달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트위터에 김장 체험을 하는 사진을 올렸고, 이 게시물과 함께 한국이 김치의 원조임을 시사하는 해시태그(originalKimchifromKorea)를 달았기 때문이다.

글로벌타임스는 이 지점에서 끼어들었다. 장 대사가 중국 동북부 랴오닝성 출신이라며, 이 일대에서는 김치를 흔히 먹는다고 설명에 나선 것.

랴오닝성 일대에 사는 조선족의 문화를 중국 문화로 포장하고, 김치는 중국에서도 흔한 것이라는 논리를 세워 다시 한 번 한국 여론을 우회적으로 건드린 셈이다. 그러면서 한국과 중국의 '김치 충돌'은 두 나라가 문화와 음식에서 수천 년간 관계를 맺어온 것을 반영한다면서 '김치의 왕' 주장은 불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환구시보는 지난해 11월 중국 쓰촨(四川) 지방의 염장 채소인 파오차이(泡菜)가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표준인증을 받았다며 '중국이 국제 김치 산업의 기준이 됐다'는 논조를 폈다.

하지만 둘은 제조 방법이나 재료가 달라 비교가 어렵다. 또한 김치는 2001년 유엔 국제식량농업기구(FAO) 산하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국제 표준으로 정해진 바 있다.

최근에는 유튜브 구독자 1400만명을 보유한 중국의 스타 블로거 리쯔치(李子柒)가 김장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올리면서 '중국음식'(#ChineseFood)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한중 누리꾼 간에 '김치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중화권에서는 꾸준히 김치에 대한 구애를 펴고 있다. 중국은 2003년 아시아 일대에 전염병 '사스'가 확산된 가운데 김치를 주로 먹는 지역은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김치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내 시장 또한 중국산 김치에 상당 부분 잠식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