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방역 보란듯” 대만·베트남·싱가포르, 코로나 ‘0수준’…비결은?
대만, 격리 위반시 최대 3900만원 벌금
베트남, 공산당 체제 입국자 관리 엄격
싱가포르, 570만 인구에 540만회 검사
고강도 격리·검사로 집단감염 싹 잘라
대만 당국은 작년 11월 필리핀서 입국한 20대 남성 근로자가 격리 중인 호텔 방에서 8초간 벗어났다는 이유로 벌금 10만 대만달러(389만원)를 부과했다. [CTV 방송 캡처]

[헤럴드경제=천예선 기자]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하는 가운데 대만과 베트남, 싱가포르가 ‘방역 모범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공통점은 감염자에 대한 선제적인 격리와 철저한 검사로 집단감염의 싹을 조기에 자르는 데 있다.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외신에 따르면, 대만과 베트남, 싱가포르 등 ‘아시아 3개국’ 감염률은 거의 제로 수준에 가깝다.

대만은 작년 12월 코로나19 확진자가 8개월 만에 처음으로 1명 나왔다. 인구 2400만명 나라에서 5일 기준 누적 확진자는 815명, 사망자 수는 7명에 불과하다.

가장 큰 요인은 방역 조치를 어길 시 막대한 벌금을 부과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캠페인을 벌인 것이 꼽힌다.

대표적인 예가 작년 11월 필리핀서 입국한 20대 남성 근로자가 격리 중인 호텔 방에서 8초간 외부로 모습을 드러낸 것이 감시 카메라에 포착돼 10만 대만달러(389만원) 벌금을 부과한 것이다. 이 영상은 현지 미디어를 통해 반복적으로 방영됐고 국민들에 당국의 철저한 단속을 각인시켰다.

앞서 대만 정부는 격리 위반자에게 최고 100만대만달러(3891만원) 고액의 벌금을 매기는 코로나19 특별 조례를 제정한 바 있다.

또 PCR 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온 확진자에 대해서는 자택 요양을 인정하지 않고 즉각 지정병원에 입원하도록 했다.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 처벌 대상이 되지만 입원 비용은 전액 당국이 부담한다. 해외 입국자들에 대한 2주간 격리는 의무다.

베트남은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 아래 엄격한 방역 조치로 누적 감염자가 1497명에 그친다. 정부는 입국자에 대해 14일간 격리를 철저히 실시하고 있으며 감염자가 발생할 경우 연령, 직업, 거주지, 최근 행동 이력 등 개인 정보를 공개하고 밀접 접촉자를 즉시 확인하고 있다.

작년 초 외국인 노동자를 중심으로 감염자가 폭증했던 싱가포르도 최근에는 감염률이 현격히 낮아졌다. 5일 현재 신규 확진자수는 24명(누적 확진자 5만8721명)이었다.

철저한 검사와 밀접 접촉자 추적이 주효했다. 인구 570만명의 도시국가인 싱가포르의 코로나19 총 검사 횟수는 지금까지 540만 회에 이른다. 특히 전용 기숙사에 살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해서는 지금도 2주에 한 번 검사를 의무화하고 있다. 감염 경로를 추적하는 스마트폰 앱 ‘트레이스투게더(TraceTogether)’ 보급률은 인구의 80%에 육박한다.

특히 대만과 싱가포르에서는 2003년 유행한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 ‘학습효과’도 코로나19 대응에 적잖은 역할을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대만과 싱가포르는 2003년 이후 단계적으로 격리 병동을 늘렸다”면서 “지난해 초 코로나19가 확산할 당시 환자를 수용하는 사전훈련과 준비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