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한화·포스코·효성…새해 수소전쟁 뜨거워진다
SK·포스코, 수소사업 담당 조직 신설
한화솔루션, 수소생산·저장 밸류체인
효성, 액화수소 공장에 3000억원 투자
SK그룹 서린빌딩. [SK 제공]

[헤럴드경제 김현일 기자]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친환경'과 '디지털'로의 대전환을 선언했던 국내 산업계는 그 흐름을 새해에도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전 세계 '탈(脫)탄소' 움직임에 발맞춰 수소사업을 둘러싼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SK를 비롯해, 한화, 포스코, 효성 등이 수소사업 진출을 위한 채비를 서두르며 청사진을 내놓고 있다.

SK그룹은 지주사 SK(주)에 그룹 수소사업을 총괄할 컨트롤 타워인 ‘수소사업추진단’을 지난 달 신설하며 수소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수소사업추진단은 SK이노베이션과 SK E&S 등 관계사의 전문 인력 20여명으로 구성했다. 추형욱 SK E&S 신임 사장은 작년 연말 임원인사에서 수소사업추진단장에 발탁되기도 했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직수입하는 SK E&S를 중심으로 2023년부터 연간 3만t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설비를 건설해 수도권에 액화수소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천연가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별도로 분리하는 포집 방식의 블루수소도 추가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솔루션은 강원도, 한국가스기술공사와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업무협약(MOU) 체결하고 그린수소 생산 관련 수전해 시설 투자에 나섰다. [한화솔루션 제공]

한화솔루션은 케미칼, 큐셀, 첨단소재 부문이 모두 수소 관련 사업에 뛰어들며 새로운 밸류체인 형성을 기대하고 있다.

케미칼 부문은 풍력·태양광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를 물에 흘려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수전해 기술개발을 위해 약 300억원을 투자했다. 큐셀 부문이 태양광 발전으로 전력을 공급하면 케미칼 부문이 수전해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사업모델을 계획하고 있다.

여기에 첨단소재 부문은 수소를 보관하는 저장탱크 개발을 담당한다. 이와 관련해 최근 한화솔루션은 미국 고압탱크 업체인 시마론(Cimarron)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2025년까지 시마론에 약 1억달러를 투자해 글로벌 수소탱크 사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이달부터 최고경영자(CEO) 직속의 ‘산업가스·수소사업부’를 신설하는 등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2025년까지 부생수소 생산능력을 연간 7만t으로 늘리고, 2030년까지 글로벌 기업과 '블루수소'를 50만t 생산할 계획이다. '그린수소'는 2040년까지 200만t 생산체제를 구축해 2050년까지 500만t 생산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효성은 글로벌 화학사인 린데그룹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오는 2022년까지 총 3000억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액화수소 공장을 건설한다. [효성 제공]

효성은 오는 2022년까지 총 3000억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을 건설한다. 글로벌 화학사인 린데그룹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올해 1분기 울산 용연공장 내 부지에 착공할 계획이다.

신설 공장은 효성화학의 울산 용연공장에서 생산되는 부생 수소에 린데의 수소 액화기술과 설비를 적용해 액화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연간 생산규모는 1만3000t(승용차 10만대 사용가능 물량)로, 단일설비로는 세계 최대규모다.

joz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