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IMF 직후 급증한 서울 노숙인 20년 간 절반으로 줄어
서울시, 노숙인 복지정책 20년사 백서 발간
서울시 노숙인복지정책 20년사 표지.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IMF 직후에 급증한 서울시 노숙인 수가 20년 새 절반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서울시가 발간한 ‘서울시 노숙인복지정책 20년사 - 노숙인 다시 우리의 이웃이 되다’(이하 백서)를 보면 1998년 보건복지부 집계 서울 노숙인 수는 6531명이며, 이듬해 7401명으로 정점을 보이다 이후 꾸준히 내리막을 타 2018년 서울시 자체 조사 기준 3478명까지 떨어졌다. 20년 간 46.7% 감소했다.

시는 2013년부터 연 3~4회씩 계절별로 노숙인 실태조사를 해오고 있다.

이번 백서는 ▷서울시 노숙인복지정책 20년 흐름 ▷노숙인복지정책 시기별 주요특성 ▷노숙인복지정책 분야별 성과와 과제 ▷서울시 노숙인 복지정책 발전방향 등 총 4장에 걸쳐 서울시 노숙인 정책 20년 역사를 다뤘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해 서울시복지재단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학계와 시민단체, 복지시설 관계자 등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꾸려 시정을 평가했다.

서울시 노숙인 복지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건 1998년부터다. IMF에 쓰러진 자영업자 등 노숙인이 거리로 쏟아지던 시기다. 시는 1998년 5월 시립 근로자합숙소(현 영등포보현종합지원센터)를 설치, '노숙자 다시서기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2005년부터는 노숙인 특별자활사업이 시작됐고, 노숙인 상담보호센터(현 노숙인 종합지원센터)가 제도화하면서 본격적인 임시숙박, 위생, 의료 서비스가 이뤄졌다. 고 박원순 시장이 취임한 민선 5기 들어 2012년 노숙인복지법 시행, 그 해 6월 '서울시 노숙인 권리장전' 발표 등 노숙인의 인권보호와 응급보호체계, 주거지원 등이강화됐다.

노숙인 수 변천 추이. [그래프=백서]

이 백서는 서울특별시 누리집(ebook.seoul.go.kr)에서 볼 수 있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서울시는 지난 20년 간의 경험을 토대로 노숙인이 시민의 일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정책을 보다 정교하게 발전시키겠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초래된 여러 위기로 인해 다시 노숙인이 증가할 수 있는 만큼 선제적이고 발전적인 복지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