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원순 피해자 공동행동 “서울시, 피해자 신상 유출 행위 고발 조치해야”
“피해자 실명 공개한 사람 대상으로 구속 수사” 촉구
피해자 측 “돌아갈 일상도 없어졌다”
“가족들까지 ‘피해자 맞냐’ 전화받아”
서울시장위력성폭력사건공동행동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장 위력성폭력 사건 피해자 정보 유출·유포 사태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신주희 기자]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사건 피해자의 자필 편지가 공개되는 과정에서 실명이 유출되자 피해자 측에서 서울시, 여성가족부, 경찰에 2차 가해를 방지하기 위한 긴급조치를 촉구했다.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여성민우회 등 289개 단체로 구성된 서울시장위력성폭력사건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28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장 권한대행, 여성가족부 장관, 서울경찰청장에게 피해자 인권 보장을 위한 긴급조치 촉구 서한을 제출할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동행동은 “지난 24일, 서울시장 위력 성폭력을 고소한 피해자의 실명이 서울시 시민대학 운영위원장(김민웅 경희대 미래문명원 교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유포됐다”며 “피해자 실명과 실명이 쓰인 해당 자료는 최초 SNS 유포 후 하루도 지나지 않아서 10개 인터넷 사이트와 검색 사이트에 게시, 유포됐다. 피해자 신상을 유포하는 최악의 2차 가해가 조직적으로 자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여러 차례 피해 직원 보호 역할을 천명한 서울시장 권한대행에 피해자에 대한 실명과 정보를 유출·유포하는 행위자를 즉각 고발하고 징계하라”고 촉구했다. 서울경찰청장에게는 피해자 실명을 공개한 2차 가해자들을 상대로 구속 수사를 요구했다. 여가부에는 2차 피해 현장 점검을 요구했다.

공동행동에 따르면 지난 10월 7일 단체는 청와대와 여가부를 상대로 2차 피해 대응 촉구 공문을 발송하고 경찰청에 피해자의 실명을 공개한 이들의 구속 수사를 촉구했다. 이어 서울시에는 공공기관 장의 직위로 피해자에게 2차 가해를 입히는 자의 징계를 요청했다.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장은 “(피해자의 실명이)주변에서 알려짐으로 인해 피해자 가족들까지 ‘피해자가 맞느냐’라는 전화를 받았다”며 “피해자가 앞으로 돌아갈 일상이 없어졌다. 피해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많은 조치를 마련해 왔지만 무슨 소용이 있냐”고 반문했다.

joo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