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실련 등 “GTX 광화문역 건설, 서울시민 세부담만 늘릴 것”
시민단체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폐기 다시한번 촉구
“GTX 광화문역 추가 비용, 서울가 부담해야 하는 상황”
“서울역과 거리 2㎞…광역급행철도 속도 떨어뜨릴 것”
지난달 중순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진행 중인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시민들의 세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며 추진 중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폐기할 것을 다시 한 번 서울시에 촉구했다.

시민단체들은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의 일부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추진 관련해 “GTX 광화문역 건설비 3500억원을 서울시민에게 떠넘기지 마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해당 보도자료는 ‘광화문광장재구조화졸속추진중단을촉구하는시민사회단체’ 명의로 발표됐다. 광화문광장재구조화졸속추진중단을촉구하는시민사회단체에는 경실련을 비롯, 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도시연대)·문화도시연구소·문화연대·서울시민연대·서울시민재정네트워크·서울YMCA·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행정개혁시민연합이 참여 중이다.

이들 단체는 “GTX 광화문역 추가 비용을 서울시가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국토교통부 역시 서울시가 이 비용을 부담하지 않으면 검토가 어렵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상황이라면 GTX 광화문역 신설 비용 전체를 서울시가 부담해야 한다”며 “서울시는 경기도민의 서울 도심 접근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서울시민의 세금으로 막대한 건설비와 운영비를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GTX 광화문역이 광역급행철도 속도를 떨어뜨릴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단체들은 “서울역에서 광화문역까지 거리가 2㎞ 남짓”이라며 “광역급행철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791억원 규모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하루 빨리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국가재정법 제38조 제1항에 따르면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국가 재정 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에 대해 예산 편성 이전에 미리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며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비는 791억원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예비타당성조사를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단체들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광화문 일대 부동산 투기와 젠트리피케이션(낙후 지역 발전으로 중산층이 유입돼 원래 살던 저소득층 계층을 밀어내는 현상)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