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집값잡기 ‘두더지 게임’…때릴수록 튀는 시장에 허둥지둥 ‘1년’
전국 아파트값 올들어 8% 가까이 올라
잇단 규제에도 패닉바잉·풍선효과 지속
아파트 매매시장-전세시장 불안 악순환
‘규제로 수요 억제’ 근본적인 의문 제기
정부가 올 들어 6·17 대책 등 각종 수요억제책을 동원했지만, 전국 아파트값은 올 들어 11월까지 7.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 전경. 박해묵 기자

‘집값과의 전쟁’을 선포한 정부가 올 들어서도 수차례 전투를 벌였지만, 결과는 필패였다. 집값은 서울을 넘어 지방까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지난 7월 말 시행된 새 임대차법까지 가세하며 전·월세가격까지 급등했다. 수요 억제 위주의 잦은 규제책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17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올 들어 11월까지 전국 아파트값은 7.80% 올라 2006년(13.75%)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최근 주간 상승률이 오름세를 기록하는 중이어서 12월까지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 아파트값 역시 올해 11월까지 11.59%나 올랐다.

올 들어 6~8월 고강도 수요억제책이 집중적으로 투하됐던 것을 고려하면, 정부로서는 다소 아쉬운 결과일 수 있다. 전국 기준으로 2017년(1.31%), 2018년(3.02%), 2019년(-0.30%)보다 더 가파르게 집값이 오른 셈이다.

정부는 6·17 대책을 통해 수도권 대부분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으며 규제지역을 대폭 확대했다. 법인의 부동산 거래에 대한 세금을 강화하고 규제지역 내 주택 구입자 중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경우 가격에 상관없이 6개월 내 전입 의무를 부과했다.

7·10 대책도 뒤따랐다. 내년부터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 중과세율 인상과 종합부동산세 최고세율을 6%로 강화하고, 다주택자의 취득세율을 인상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권 초기만 해도 장려해왔던 등록 임대주택제도도 대폭 축소했다.

8·4 대책에선 수도권에 13만2000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6~7월 각각 1만건을 넘었던 데서 8월 4979건, 9월 3763건으로 급감했다. 하지만, 10월 거래량은 4369건으로 반등했고 지난달도 전달 거래량을 넘어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시장 곳곳을 규제로 틀어막았지만, 근본적으로 수요를 억제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정부 규제 시행을 앞두고 “지금이 아니면 집을 못 살 것”이라는 불안감에 집값이 급등하는 일이 반복됐다. 정부가 내놓은 공급대책에 일반인들이 살고 싶어하는 집은 없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조정대상지역은 76곳으로 늘어났지만, 규제가 없는 곳에서의 풍선효과는 반복되고 있다.

청약 시장에서도 눌리고 막혔던 수요가 폭발했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로또 청약’ 열풍에 힘을 보탠 것이다.

지난 7월 말 시행된 새 임대차법까지 도입되면서 전·월세 가격까지 급등했다. 임대차시장의 불안은 전세수요의 매매수요 전환을 이끌어 집값을 더 끌어올렸다.

그동안 정부는 공급 부족을 우려하는 여론에도 “그렇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임대차시장이 불안해지자 저금리와 전 정권 탓으로 돌렸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아파트가 빵이라면 제가 밤을 새워서라도 만들겠다”고 말해 ‘빵 장관’ 오명과 함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양영경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