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란 대통령 “미국 핵합의 복원시 한 시간내 복귀”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로이터]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정권 교체를 앞둔 미국의 우선적인 행동을 전제로 신속한 핵 합의 복귀를 약속했다.

로하니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TV로 중계된 연설에서 “만약 미국이 2017년 상황으로 돌아간다면, 우리도 한 시간 안에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이란 핵합의 복원과 제재 해제 추진을 어렵게 하는 악재가 이어지는 와중에 나온 발언이다.

이란은 애초 16일 유럽 내 핵 합의 서명국인 프랑스, 독일, 영국과 공동위원회 회의를 열고 미국 정권교체 후 핵 합의 복원 방법을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회의는 이란 반체제 언론인 루홀라 잠 처형으로 파행을 빚고 있다. 회의 참석 예정이던 이란 주재 프랑스, 독일, 영국 대표는 반체제 인사 처형에 반발해 불참을 선언했고 회의는 연기됐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잠 처형을 “불공정하고 야만적”이라고 했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전 연방수사국(FBI) 요원 로버트 레빈슨의 실종과 관련해 이란 관리 2명을 제재해 로하니 대통령이 곤란해졌다.

미 재무부는 이들이 13년 전 이란에서 일어난 레빈슨의 납치와 구금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란 고위 관리들은 레빈슨 납치와 감금, 그리고 비난을 피하기 위한 허위정보전을 승인했다”고 했다.

이란 정부로선 핵 합의 파기 이후 처음으로 갈등을 봉합할 기회를 놓친 데다, 미국의 제재로 내부 강경파들의 압박까지 받게 됐다. 로하니 대통령은 반체제 언론인 처형의 파장을 수습하려는 발언도 했다.

그는 “유럽 국가도 말할 권리가 있지만 잠은 독립적인 법원 판결에 따라 처형됐다”며 “이번 사건이 이란과 유럽의 관계를 훼손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엘리 게란마예 유럽외교협회(ECFR) 선임연구원은 “이번 사건은 인권 문제가 핵 합의의 향배와 상관없이 양측(이란-유럽) 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상기시켰을 것”이라고 말했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