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배당여력 충분” vs “불확실성 큰데”… 금감원·은행 연말 ‘배당전쟁’

[헤럴드경제=박준규·문재연 기자] 금융지주사들이 금융감독원의 ‘배당 자제’ 권고 탓에 고심에 빠졌다. 주식회사 입장에서 경영성과가 우수하다면, 주주환원이 자연스럽게 따라와야 하나 금감원은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국내 은행들을 대상으로 위기대응 스트레스테스트를 진행중이다. 금감원은 은행들로부터 기초 자료를 제공 받아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최악을 기록할 경우와 최상을 기록할 경우 등을 여러 시나리오별로 나누고 그에 따라 은행들이 버틸 수 있는 체력이 어느정도인지를 가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도 자국 은행들을 상대로 한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중인데 오는 18일을 전후해 결과가 나올 것으로 알려진다. 한국 금감원도 연준의 결과치 참고해 한국 은행들에 대한 배당 자제 등 건전성 규제 수위를 확정할 것으로 알려진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글로벌 금융당국들은 코로나19 상황에 은행 건전성이 유지돼야 한다는 데 뜻을 함께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설명했다.

수치상으로 국내 금융지주의 자본비율은 개선됐다. 지난 3분기 기준 국내금융지주사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 평균은 14.72%로 전분기보다 1.02%포인트(p) 증가했다. KB금융(14.69%), 신한금융(15.94%), 하나금융(14.38%), 우리금융(14.23%) 등 주요 금융지주들도 전분기와 견줘 1~2%p 올라섰다.

금감원은 이를 바젤III 조기 도입에 따른 착시효과로 분석한다. 총자본비율을 계산할 때 분모가 되는 위험가중자산(RWA) 분류 기준이 달라지면서 3분기 중에 위험자산이 5.2% 가량 감소하면서 총자본비율이 개선된 것처럼 보이게 됐다는 설명이다. 동시에 이 기간에 거둔 순이익 가운데 자기자본으로 편입된 규모가 늘면서 결과적으론 자본비율이 올랐다.

배당 기준일(12월31일) 전까지 결산배당 정책을 정해야 하는 금융지주들은 주가부양과 당국기조 사이에서 고민이다. 당초 금융지주사들은 작년 수준의 배당을 주주들에게 약속했으나 금감원의 배당자제 권고에 따라 배당 규모를 일부 축소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금융사에 배당 자제를 요청하는 건 미국과 유럽에서도 마찬가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은 앞서 상업, 투자은행에 연말까지 자사주 매입을 중단하고 배당금을 종전 수준 밑으로 맞출 것을 주문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씨티은행, JP모건체이스는 최근 분기배당금을 지난해 수준으로 맞췄다. 웰스파고는 1~2분기 0.51달러였던 주당배당금을 3분기엔 0.1달러로 줄였다.

금융지주들은 배당이 자본 적정성 등 금융사의 건전성 측면에서 부담으로 작용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 강조한다. 지난해 4대 금융지주의 실적을 기준으로 배당을 했을 경우와, 하지 않았을 경우의 총자본비율 차이는 0.2~0.3% 수준에 그친다는 것이 금융지주사들의 섦영이다.

증권가에서는 금융지주들이 배당은 하되 규모는 늘리지 않는 선에서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업계에선 올해 KB·신한·하나금융의 순이익은 작년보다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럼에도 배당을 작년 수준으로 유지하면 배당성향은 더 떨어진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결국 내년 경제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당국의 기조에 발 맞출 것인지 정무적인 판단을 강하게 해야 하는 처지”라고 말했다.

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