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부산·해외 한 팀으로 근무” 3년차 신입 리더로 앉힌 박정호의 파격 실험!
-장소 구애받지 않는 ‘워크 애니웨어’ 추진 선언
-현재 5개 거점오피스, 본격 확대 의지 “어디서나 자유롭게 근무”
-88년생 3년차 신입 거점오피스 사업 리더로 선정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17일 오후 SKT 본사 수펙스홀에서 열린 ‘온오프라인 타운홀’에서 일하는 방향 혁신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집, 회사, 오피스 등 근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워크 애니웨어(Work Anywhere)’를 추진한다고 선언했다.

거점오피스 사업을 이끌 리더로 1988년생 신입 3년차 직원을 선정하는 ‘파격’적인 카드까지 꺼내고 업무 방식을 완전히 뜯어고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사장은 지난 17일 오후 을지로 본사 수펙스홀에서 ‘워크 애니웨어 - 일하는 방식 혁신’을 주제로 열린 타운홀 미팅에서 “예전으로 100% 돌아갈 수 없기에 우리 근무, 소통 방식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연구가 필요하다”며 “우리가 쌓은 데이터, 비대면 기술을 바탕으로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일하는 방식을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 일환으로 거점오피스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SK텔레콤은 올해 을지로, 종로, 서대문, 분당, 판교 등 5개 지역에 거점오피스를 마련했다. 하루 100~200명이 이용하고 있다.

박 사장은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는 시도 중 하나로 거점오피스를 본격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조직 문화와 새로운 공간 활용 역량을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서울, 부산, 해외에서도 한 팀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됐다고 박 사장은 설명했다.박 사장은 “워크 애니웨어로 부산에서도 서울 본사팀에 소속돼 일할 수 있다”며 “가족과 해외에 체류해야 하는 직원이나 해외서 선발된 인재가 반드시 우리나라에 오지 않아도 같이 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사장은 거점오피스 아이디어가 탄생한 배경도 설명했다. 그는 “처음에는 통근 버스로 효율적 출퇴근을 돕는 방안을 고민하다가, 출퇴근에 발생하는 비효율을 줄이면 어떨까로 생각이 확대됐다”며 “워크 애니웨어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면 전체 이동시간이 줄고, 차량의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17일 오후 SKT 본사 수펙스홀에서 열린 ‘온오프라인 타운홀’에서 일하는 방향 혁신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박 사장은 거점오피스 사업을 이끌 프로젝트 리더로 1988년생 3년차 신입직원을 선정하는 ‘파격적인’ 결단도 내렸다.

윤태하 PL은 지난 10월 경영진에게 향후 사업 계획을 발표하는 공모 절차를 거쳐, 사내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선발됐다. 이번 발탁에는 젊은 직원들에게 의사 결정을 맡기고 혁신을 앞당기겠다는 경영진의 의중이 반영됐다.

한편, 이번 타운홀 미팅은 지난 5일에 이어 2주만에 다시 마련된 자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게 구성원에게 경영 정보와 화두를 자주 전달하고, 아이디어를 공개 토론하면서 공간 제약을 뛰어넘자는 취지다.

박 사장은 “거점오피스도 지난 6월 비대면 타운홀을 통해 논의한 이후 구체화됐다”며 “앞으로 이메일로 직접 의견을 주고 받거나 수시로 타운홀을 통해 공개 토론할 수 있는 문화를 정착하겠다”고 말했다.

sj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