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87만명 사용 ‘부산지역화폐’ 흠집내기!…“도대체 뭐가 문제야?” [IT선빵!]
-1년 만에 1조2000억원 발행, 87만명 가입자 확보
-부산지역화폐 ‘동백전’ 놓고 일부 시민단체 억지 흠집내기로 몸살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잘 쓰고 있는데 뭐가 문제야?”

다음달 시행 1년을 맞는 부산시 지역화폐 ‘동백전’이 몸살을 앓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 등의 과도한 ‘딴지걸이’로 사업 확장에 발목이 잡혔다.

동백전은 2019년 2월 부산시가 선보인 부산 지역 화폐다. KT가 운영대행을 맡고 있다.

출시 1년 만에 1조2000억원이 발행되며 87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부산 경제활동 인구 3명 중 1명이 쓰는 결제 수단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시민단체의 잇따라 ‘딴지걸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역 화폐, 진짜 문제 있는 것 맞나?

‘동백전’ 사업에 반기를 든 것은 부산 지역 일부 시민단체다. 이들은 부산시와 KT가 당초 이행하기로 한 동백전 관련 사업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역 상품을 다루는 온라인몰을 아직 구축하지 않았다는 것. 온라인몰은 지역 소상공인의 판로를 확대하기 위한 취지로 도입키로 한 사업이다. 시민단체들은 이 과정에서 지역상품몰 수수료가 높아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이외에도 ▷동백전 애플리케이션(앱) 단일 페이지에서 결제 취소와 실시간 환전 기능이 구현되지 않는 다는 점 ▷체크카드 연결 계좌에 부산은행을 추가한 시점이 당초 계획보다 늦어졌다는 점 ▷가맹점 가입 기능만 구현되고 가맹점 카드 매출 확인은 불가하다는 점 ▷포스(POS)를 연동한 결제가 도입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이에 부산시는 시민단체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지적사항의 상당수가 이미 이행된 내용이지만 과도한 흠집내기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온라인몰의 경우 12월초 오픈을 목표롤 당초 계획대로 추진 중이라는 설명이다. 지역상품몰 수수료가 높다는 지적에 대해선 일반 오픈마켓이나 타지역몰보다 적은 8% 이하의 수수료를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11번가, 쿠팡 등 오픈마켓의 수수료는 8~15% 수준이다.

미이행으로 지적한 동백전 앱 내 결제 취소, 실시간 환전, 가맹점 매출 확인 등의 기능도 이달 5일부터 제공 중이다. POS를 연동한 결제는 바코드 형태로 결제가 가능한 상황이다.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 [부산시 제공]
재입찰 시점 임박…기존 운영 대행사 흠집내기?

시민단체들이 사업 재입찰 시점을 앞두고 기존 운영대행 업체인 KT를 정조준하고 있다는 시각이 있다. KT의 운영대행 계약기간은 오는 12월말까지다.

특히 시민단체는 부산시가 KT에게 100억원이 넘는 과도한 수수료를 지불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부산시 측은 “당초 동백전 예상 발행 규모가 3000억원이었으나 1조원으로 증액되면서 수수료가 불가피하게 추가됐다”고 반박했다.

수수료요율 역시 당초 1.155%에서 0.7% 수준으로 인하 조정했으며 이는 다른 광역지자체의 운영 수수료을 볼 때 높은 수준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지역별 운영 수수료율은 서울, 경남 지역 1.65%, 울산 1.2%, 대전 0.7% 수준이다.

시민단체는 입찰과정 의혹까지 들고 나왔다. 이에 KT 측은 “2019년 10월 용역 제안요청서에 따라 사업제안을 했고 7인을 평가를 거쳐 우선사업자에 선정된 것”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현지에서는 시민단체의 이같은 행보가 재입찰 시 동백전 운영방식을 선불충전형 IC카드로 바꾸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이들은 현재의 체크카드 방식이 아닌, 충전형 선불카드 기반의 지역화폐가 돼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부산시 측은 선불카드의 경우 ‘깡’에 악용되는 등 오히려 지역 화폐 사업에 위험이 될 것으로 보고 이를 제외시킨 바 있다.

sj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