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명량대첩 전승지 전라우수영서 내아·동헌 발굴
전라우수영 동헌지 축대 및 행각(사진 위)과 전라우수영 항공사진. [해남군 제공]

[헤럴드경제(해남)=박대성 기자] 명량대첩 전승지인 전남 해남군 전라우수영의 중심 관아터인 내아와 동헌, 진·출입 시설이 처음으로 발굴됐다

해남군(군수 명현관)은 지난 5월부터 국가사적 제535호인 해남 전라우수영 발굴조사를 실시해 축대와 담장 등으로 둘러싸인 관아와 우수사가 기거했던 관사인 내아(內衙)와 집무실인 동헌(東軒) 건물 일부를 확인했다.

관아로 향하는 도로망의 진·출입 시설과 건물 축조를 위한 토목과정과 중심 관아 영역 밖의 건물 등도 확인됐으며, 우수(右水)명 초기 백자와 함께 명문와, 막새류, 상평통보 등 유물 수백여점이 출토됐다.

해남 우수영은 조선시대 전라우수영이 위치한 곳이다.

세종 22년인 1440년 설치돼 1895년(고종 32년)까지 약 450년 이상 유지된 군사적 요충지이다.

임진왜란 당시 전라우도 연해지역 14관을 관할하는 본영으로,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의 대승을 거둔 울돌목 해협이 위치해 있다.

내아(內衙) 영역은 명량해협의 바다가 조망되는 능선 일부를 절개·성토해 대지를 조성한 후, 외곽으로 계단식 축대와 담장을 둘러 주요 건물의 위상을 극대화했다.

초축 건물 2동은 온돌이 있는 구조로 15세기 후반에 큰 규모로 축조되며 16~17세기에는 대대적인 중창(重創) 과정을 통해 4동으로 확대된다.

중심 건물은 4칸 규모의 ‘ㅁ’자 형태로 한 가운데 마당(중정·中庭)을 갖추는 구조로 파악됐다.

출토된 유물인 분청 및 백자, 명문와, 동전 등을 통해 건물의 연대 및 성격을 파악할 수 있고, 초기 백자는 중앙 관요에서 생산한 것으로 여러 점에 우수명이 새겨져 있으며 지방 관요 출토품도 여러 지역에서 상납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로 명량대첩의 배후인 전라우수영의 중심 관아터에 대한 실체가 확인되면서 전라우수영 경관 복원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