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5단계로 격상되나…지난주 지역발생 확진 하루 89명꼴

6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선별진료소에서 내원객이 검체 채취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45명 늘어 누적 2만7천195명이라고 밝혔다. 지난 4일, 5일(125명)에 이어 사흘 연속 세 자릿수를 나타냈다. 전날보다는 20명 늘었다. 정부는 7일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에서도 1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이달 7일부터 새로 개편된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가 시행 중인 가운데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적지 않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수도권 1.5단계 격상 가능성도 제기된다.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 국내에서 발생한 지역발생 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88.7명으로, 직전(10.25∼31) 86.9명보다 1.8명 증가했다.

6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하루 평균 25.8명 수준으로 직전 일주일(22.7명)보다 3.1명 많았다.

지역발생 확진자의 대부분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나왔다.

최근 1주일간 지역발생 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수도권이 65.4명이었다. 최근 천안, 아산 등에서 집단발병 사례가 확인된 충청권은 14.1명이었으며 경남권이 4.4명 등이었다.

정부는 현재 코로나19 대응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최근 곳곳에서 방역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며 국민 개개인의 방역 협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능후 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국내발생 환자 수를 100명 이내인 두 자릿수로, 60대 이상 환자 수는 40명 이내로 관리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목표보다는 환자 발생이 낮은 수준이나,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인 것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유행 확산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수도권의 경우, 거리두기 1.5단계로의 격상 기준을 충족할 위험성이 커지고 있어 정부는 긴장감을 가지고 방역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앞서 젊은 층이 클럽과 주점 등에 대거 몰렸던 '핼러윈 데이'(10월 31일) 영향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지만, 최대 14일에 이르는 잠복기를 고려해 향후 환자 발생 추이를 면밀히 들여다볼 방침이다. 또 감염 취약시설로 꼽히는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 종사자와 이용자 등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선제적 검사를 오는 9일부터 비수도권 14개 시·도로 확대해 실시할 계획이다.

박 1차장은 "비수도권 지역까지 전수 검사를 확대할 예정이며 11월 중으로 검사를 완료할 계획"이라며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수도권은 2주마다, 비수도권은 4주마다 정기적인 검사를 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heral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