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더머니]포스트 美대선 뉴욕증시, ‘바이든 당선·공화당 상원장악이 최악’
NYT “바이든 당선ㆍ민주당 상원 승리, 추가부양 확대로 주가↑”
“트럼프 재선, 근시일내 추가부양 어렵지만 세금ㆍ금리 시장에 유리”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앞의 모습 [AP]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 3일(현지시간) 진행하는 미국 대선 결과에 금융 중심지 월스트리트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대선 승자에 따른 미국의 추가 경기부양 법안 전망이 월가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4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첫째 시나리오는 민주당이 백악관과 상·하원을 모두 싹쓸이하는 ‘블루웨이브’(Blue Wave)다.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꺾고 소속 정당인 민주당이 하원에 이어 상원 다수당 지위까지 탈환한다면 경기부양을 위한 지출 규모가 커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 경우 뉴욕증시는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상승할 것이라고 NYT는 내다봤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500포인트 넘게 오르는 등 이틀째 상승장이 펼쳐진 것도 바이든 후보의 당선과 민주당의 상원 승리를 예상한 투자자들이 매수에 나선 결과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풀이했다.

또 장기금리는 올라가고, 연방정부 재정적자 우려에 따라 달러 가치는 떨어지고, 인플레이션 가능성은 약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블루웨이브가 현실화하면 세금과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도 커진다.

따라서 일부 전문가는 민주당이 상원에서 박빙의 차로 다수당이 되는 ‘라이트 블루웨이브’가 투자자들에게는 좀 더 좋은 결과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민주당이 정책 어젠다를 밀어붙이기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바이든 후보의 대통령 당선과 공화당의 상원 수성이 꼽혔다.

월가의 통념으로는 워싱턴 정가의 교착 상태가 주식시장에 최선이지만,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경기침체로 상황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이든 백악관’과 ‘공화당 상원’은 추가 경기부양에 희망을 걸고 있는 금융시장에 최악의 결과가 될 수 있다고 NYT는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은 현 상황을 그대로 유지하는 시나리오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공화당이 상원 다수석을 지키고, 민주당은 하원 우위를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추가 부양을 둘러싼 현 대치 국면이 그대로 유지돼 근시일 내 대규모 경기부양 패키지가 집행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빠르게 사라질 것이라고 신문은 내다봤다.

트럼프 재선 시나리오는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도 줄 수 있다. 바이든 후보와 달리 법인세와 재산세를 올리지 않을 것이 확실시되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영구 저금리’ 정책에 발맞출 새로운 인물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거 결과가 바로 확정되지 않는 시나리오도 고려해야 한다. 만약 바이든 후보가 이기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우편투표의 적법성 등을 문제 삼아 소송전에 나서 대법원 판결 전까지 혼돈이 지속되는 경우다.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추가 경기부양이 지연되고 시장 불확실성이 커져 차기 대통령이 정해지기 전까지 주식시장이 힘든 시기를 겪을 수밖에 없다고 NYT는 전망했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