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경? 온건?’ 새 위원장 선거운동 돌입한 민주노총…비정규직 표심이 ‘변수’
29일 선거운동 시작…11월 27일 종료
‘사회적 대화 참여’가 최대 쟁점 전망
“3년새 크게 증가한 조합원 수, 변수”
지난 21일 오전 국회 앞에서 열린 ‘정부의 반노동적 노동법 개악반대 및 ILO(국제노동기구)핵심협약 비준촉구 양대노총 기자회견’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차기 위원장 후보 등록이 완료됨에 따라, 후보들은 29일부터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이번 선거는 김명환 전 위원장의 임기 중 사퇴를 초래했던 ‘사회적 대화’ 참여 여부가 선거 쟁점이 될 전망이다. 민주노총이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을 제치고 제1 노총의 지위에 올라선 후 처음 치러지는 선거다. 특히 지난 3년간 크게 늘어난 조합원들의 표심의 향방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이날부터 차기 위원장 선거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선거는 위원장, 수석부위원장, 사무총장이 한 팀이 돼 치러진다. 선거운동은 다음달 27일까지다. 투표는 다음 달 28일부터 오는 12월 4일까지 진행된다. 당선된 차기 위원장의 임기는 내년 1월부터다.

이번 선거는 사회적 대화 찬성파와 반대파의 구도로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8일 총 4명의 위원장 후보가 팀을 꾸려 후보로 등록했다.

후보 중 기호 1번은 사회적 대화 찬성파로 분류되는 김상구 전 금속노조 위원장이다. 김 후보는 공약으로 사회적 교섭을 통한 모든 노동자의 민주노총, 정파 패권이 아닌 공조직 산별 중심의 조직 운영 등을 내세웠다.

기호 2번은 ‘현장파’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영주 전교조 수석부위원장이다. 현장파는 민주노총 내에서 강경파로 분류되며, 사회적 대화를 반대해 온 입장으로 전해지고 있다.

기호 3번은 양경수 민주노총 경기본부장이다. 양 후보는 민주노총 내 최대 정파 조직으로 사회적 대화 참여에 반대한 ‘전국회의’ 그룹 출신이다. 양 후보는 ▷전태일 3법 쟁취 총파업 ▷재난 시기 해고 금지 ▷국가고용책임제·전국민고용보험제 도입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양 후보 측은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지난번 노사정 합의의 경우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빠진, 정부의 ‘들러리’ 역할에 불과했던 합의안”이라며 “지금과 같은 사회적 대화 참여는 거부한다는 것이 후보자의 입장”이라고 했다. 기호 4번에는 이호동 전 발전노조 위원장이 위원장 후보로 등록했다.

이번 선거는 2017년 12월 치러진 선거보다 크게 늘어난 조합원들의 표심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 하에서 조합원 수를 크게 늘린 민주노총은 2018년 96만명을 돌파해 한국노총을 제치고 제 1노총이 됐다. 지난해 3월에는 이미 조합원 수가 100만명이 넘어섰다. 이번 선거에서 투표권을 행사하는 조합원수는 95만7920명으로 2017년(79만2889명)에 비해 20.8%나 늘어났다. 특히 최근 3년 새 비정규직들의 가입률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 산별노조 소속 한 관계자는 “민주노총 조합원 수가 크게 늘어났다”며 “유권자 수가 과거에 비해 크게 늘어난 만큼 이들의 표심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의 또다른 관계자는 "촛불(혁명)이후에, 비정규직이 조합원으로 많이 들어왔다"며 "이들이 실리적 판단에 따라 투표를 하게 될 텐데, 이들 표심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