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전자, 생명과학·로봇제어 등 미래연구에 400억 지원
기초과학·소재·ICT 분야 등 총 31개 과제 선정
미각의 정보처리,차세대 세포치료법 등 연구 진행 예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020년 하반기 지원 과제에 선정된 교수들. 포스텍 서종철 교수, 서강대 유효빈 교수, 강원대 이지민 교수, 연세대 주철민 교수, 서울대 최명환 교수, KAIST 황보제민 교수(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삼성전자 제공]

[헤럴드경제 정세희 기자]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생명과학·세포치료법·보행 로봇 제어 등 연구과제에 총 396억3000만원을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6일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2020년 하반기부터 지원할 연구 과제로 기초과학 분야 15개, 소재 분야 7개, ICT 분야 9개 등 총 31개를 발표했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수리과학 5건, 생명과학 4건, 화학 4건, 물리학 2건 등 총 15개 과제가 선정됐다.

특히 생리·자연현상의 기초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기존 가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 또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과제가 다수 선정됐다.

최명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는 사람이 음식물을 먹으면 어떻게 ‘맛’을 느끼는 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현재 맛을 느끼는 현상에 대한 이론에서 혀는 감각을 측정하는 등 단순한 센서로만 기능하고, 미각과 관련된 복잡한 정보처리는 뇌에서 이뤄진다고 알려져 있다.

최 교수는 혀에서 미각에 대한 정보처리가 가능하다는 새로운 이론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미각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식품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종철 포스텍 화학과 교수는 나노미터 크기의 용액 방울 안에서 일어나는 분자의 움직임을 직접 관찰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나노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은 넓은 공간에서의 반응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거나 전혀 다른 물질을 생성하는 등 특이한 현상을 보인다. 그러나 현재까지 나노미터 크기의 용액 방울 안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서 교수는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해 나노미터 크기의 용액에서 분자의 움직임과 화학 반응을 관찰하는 기법을 확립하고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할 계획이다.

소재 분야에서는 세포치료법과 같은 의학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첨단 기술을 이용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지 등 주력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에서 총 7개 과제를 지원한다.

이지민 강원대학교 분자생명과학과 교수는 유전자의 이상 변화를 인지하고 치료를 할 수 있는 차세대 세포치료법 기술 개발에 나선다.

세포치료는 환자의 질병 세포를 채취해 정상 세포로 바꾼 후 환자에게 재주입하는 방식으로 뇌졸중, 백혈병과 같은 난치성 질환을 해결하기 위한 치료법이다.

이 교수는 난임이나 임신중독증 등 태반 형성에 문제가 생기는 사례에 집중해 양·돼지 등 다른 종으로부터 추출한 외래 유전자를 도입하지 않는 차세대 세포치료법 기술 개발에 도전한다.

유효빈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강유전체의 특성을 지배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압에 의해 분극 방향이 조절되고 전압을 꺼도 방향성이 남아 전자소자의 핵심부품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메모리 집적도 한계를 돌파해 반도체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난제가 많다.

유 교수는 구동 중인 소자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분석하는 방법인 ‘오페란도’를 활용해 소자 구동 중에 발생하는 빛의 간섭 무늬 변화를 측정해 강유전체의 구조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계획이다.

ICT 분야에서는 보행 로봇 제어 등 미래 핵심기술 연구 분야와 차세대 망막 질환 진단 장비 등 헬스케어 분야에서 총 9개 과제가 선정됐다.

황보제민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4족 보행 로봇이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황보교수는 움직임 제어와 경로 탐색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해 복잡하고 험난한 지형에서 스스로 경로를 찾아 갈 수 있는 4족 보행 로봇 기술 개발에 도전한다.

주철민 연세대학교 교수는 안구 질환을 높은 해상도로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선다. 주 교수는 높은 해상도의 편광 현미경과 영상 복원 알고리즘을 개발해 망막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포를 3차원으로 영상화 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과학기술 연구 분야 육성·지원을 목표로 삼성전자가 2013년부터 1조 5000억 원을 출연해 시행하고 있는 연구 지원 공익사업이다.

매년 상·하반기에 각각 기초과학, 소재, ICT 분야에서 지원할 과제를 선정하고, 1년에 한 번 실시하는 ‘지정테마 과제 공모’를 통해 국가적으로 필요한 미래기술 분야를 지정해 해당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sa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