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야 ‘남탓’ 속 평행선 달리는 국회 대북규탄결의안
與 ‘긴급현안질의 불요, 북측 사과 반영’ 주장
野 ‘내용 수정시 결의안 통과 무의미’ 주장
김성원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27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북한의 해수부 공무원 피격 사망사건과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피살된 우리 공무원과 관련해 여야가 국회 차원의 ‘대북규탄결의안 채택’ 및 대정부 질문을 놓고 평행선을 달렸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당초 28일 본회의를 열고 대북규탄결의안을 원포인트로 처리할 계획이었으나 당일 오전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긴급현안질의는 필요치 않다, 북측의 신속한 사과를 결의안에 반영하자’는 입장과 국민의힘의 ‘긴급 현안질의 없는 결의안 채택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 팽팽히 맞선 탓이다.

다만 여야간 협상의 끈은 이어졌다. 심각한 대북 상황을 두고 여론의 비판을 의식한 것이다. 최형두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면 브리핑을 통해 “본회의를 열어 지난주 국방위에서 통과된 여야 대북규탄공동결의안을 함께 채택하자”며 “긴급현안질의도 해야하지만, (민주당이 이를) 거부한다면 (일단)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민주당 역시 이에 호응했다. 홍정민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리 당은 일관되게 대북결의안 재택을 요구 중이다. 오전 중으로 원내 수석부대표간 회동을 제안한다”며 “다만 현안질의는 외교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정보위원회에서 논의 중이고 필요하면 국정감사에서 다루기에 본회의에서는 불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결의안의 내용에서는 여야가 다시 엇갈렸다. 민주당이 김정은의 사과문 등 달라진 상황까지 반영하자고 수정 제안했다. 홍 원내대변인은 “진상규명과 이외 다른 사항을 위한 공동 수색이 필요하다. 이런 내용들이 (앞선 결의안에) 빠져있어 수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북규탄결의안 채택이 멀어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성원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오전에) 협의하겠다 해놓고 (민주당 김영진 원내수석부대표와) 연락이 되지 않는다”며 “국방위 결의안 내용대로 해야지, 내용을 수정하면 결의안 통과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brunc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