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뷰] “멀쩡했던 다리였는데…” “이 고통이 끝나긴 할까요”
완치 후 4개월차 갑자기 ‘돌발성 난청 질환’, “알바만 해도 쓰러져” 일상에 지장
“시간이 지나야 괜찮아지는 걸까”…코로나 재확진 걱정에 외출 꺼리고 무기력
‘부산 47번 환자’ 박현 교수, “후유증 환자 위한 앱 서비스 재능 기부자 찾습니다”
지난 5월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은 서모(23)씨가 촬영한 대구의 한 생활치료센터 내부 모습. 서씨는 우울감, 체력저하, 탈모 등의 후유증을 앓고 있다.[서씨 제공]

[헤럴드경제=주소현·신주희 기자] “사람들은 제가 선천적으로 다리가 불편한 줄 알아요. 멀쩡했던 무릎이었는데 지금은 두 다리로 온전히 걷기 어려워졌어요. 벌써 6개월째에요.”

지난 3월 1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고 생활치료센터를 걸어 나오던 배모(49) 씨는 갑자기 왼쪽 무릎관절에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꼈다. 며칠이 지나면 나아질 줄 알았던 무릎 통증은 한의원에서 치료를 받아도 나아질 기미가 안보였다. 배씨는 헤럴드경제와 인터뷰에서 “지금은 (통증 때문에) 왼쪽 다리에 힘을 줄 수가 없다. 걸을 때 오른쪽 다리에만 힘이 실리니 오른쪽 무릎 관절, 허리까지 연쇄적으로 나빠졌다”며 고통스러워 했다.

헤럴드경제가 최근 10여명의 코로나19 완치 환자들과 한 인터뷰를 종합하면 이들은 수개월째 관절통, 두통, 기억력 감퇴, 돌발성 난청 등의 후유증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 당시 증상과 관련이 없거나 그보다 더 심한 후유증을 호소하는 완치자도 있었다.

“경증으로 완치됐는데 후유증이 더 심해”

배씨는 지난 2월 확진 당시 약간의 기침만 있는 경증 환자였다. 평소 앓고 있던 기저질환도 없었다. 격리 생활 중에도 그는 책을 읽거나 지인들과 몇 십 분 통화를 할 정도로 별다른 증상이 없었다. 그러나 퇴원 이후 원인불명의 통증으로 제대로 걷지도 못하는 후유증이 찾아왔다.

지난 2월29일 확진 판정을 받고 지난 3월24일 생활치료센터에서 퇴소한 김모(29)씨도 마찬가지다. 당시 김씨는 기침과 콧물가래, 38도 정도의 발열, 근육통 정도 증상만 보였었다. 그러나 퇴소한지 얼마 안 된 4월부터 온몸에 염증성 질환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났다. 김씨는 “입 안이 다 헐고 질염에 방광염까지 생겼다”며 “치과, 산부인과, 일반내과 다 다녀도 염증은 잘 가라앉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씨의 어머니에게는 완치된 후 4개월 만에 돌발성 난청 증상이 나타났다. 그는 “코로나 치료 기간 중 귀가 아프고 이명이 있었는데 완치 이후 이명이 서서히 없어졌다. 그런데 최근 어머니께 저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청력 저하나 손상도 코로나 후유증 중 하나라는 걸 나중에 알게 된 후 이런 증상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 4월 코로나 19 완치자 이모(44·여)씨는 이후 탈모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이 씨는 한번 빗질했을 때 이 정도의 머리가 빠진다며 사진을 보내왔다. [이씨 제공]
“알바만 해도 쓰러져”…일상 생활에도 지장

지난 5월 초 완치 판정을 받은 대학생 서모(23)씨는 머리를 누가 쥐어짜는 듯한 두통으로 1~2주에 한번은 약을 찾아야 했다. 서씨는 “코로나 이전에는 체력 좋다고 인정할 정도였는데 요새는 서너시간 외출해도 피로감이 엄청 쌓인다”며 “큰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는 편의점 알바를 하는데도 6시간만 하고 나면 쓰러지기 일쑤”라고 설명했다.

한번 잠에 들면 8시간씩 푹 자던 김씨에게는 수면장애가 생겼다. 2~3시간에 한번은 잠이 깨 다시 잠들기가 쉽지 않다. 김씨는 “뇌가 잔다는 생각이 안들만큼 자고 나도 몸이 정말 피곤하다. 매일 밤 몇번씩 자다깨다 하니 만성피로는 일상이 됐다”고 말했다.

배씨는 자녀 이름을 불러 놓고 무슨 말을 해야할 지 깜빡하는 등 해야할 말을 자꾸 잊는다. 그는 “작년까지 야간대학을 다니고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딸 정도로 공부를 계속했었다”며 “그 정도로 학습능력, 기억력이 좋았는데 지금은 예전과 너무도 다른 것을 느낀다”고 호소했다.

“과연 좋아질 수 있을까”…심리적 위축도

이들은 후유증이 언제 없어질지, 치료는 되는 건지 확신하지 못한다. 배씨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 지는건지, 이 상태로 계속 고통 속에 있어야 하는지 모르겠다. 과연 좋아질 수 있을까”라며 한숨을 쉬었다. 그러면서 “의사들도 데이터가 없다보니 명쾌한 답을 주지 못한다”며 “바이러스가 어딜 어떻게 칠지 모르니까 더 무섭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우울감이나 무기력감을 공통적으로 호소했다. 서씨도 “‘나갔다가 다시 걸리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에 집에만 있고, 매일 방 청소를 다 한다”며 “바이러스나 위생적인 부분에 대해서 결벽증 비슷한 게 생겼다”고 말했다. 배씨는 “완치 후 집에 돌아오니 우울함이 엄습해 오더라”며 “무기력하고 우울함이 같이 오기 시작하는데 밖에도 나가기 싫고 사람들 대화하는 것도 싫었다”고 설명했다.

이런 탓에 후유증 회복과 정보 공유를 위해 코로나19 완치자 간의 공동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배씨는 “독감이나 유행성 결막염 같은 병에도 후유증이 있는데 코로나19라고 후유증이 없겠냐”고 반문하며 “먼저 겪었던 사람이 증상을 잘 얘기해줘서 방역 당국의 대응이나 후유증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어머니와 막내 동생까지 확진돼 함께 견뎌내던 김씨도 “후유증이라고 증명하기도 힘든 부분들이 많다. 이전에도 그랬지 않냐 하면 할 말이 없다”며 “후유증에 대한 정확한 규명이 있었으면 좋겠다. 코로나 환자 후유증에 대해서 일반 병원에서 관리받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코로나19 투병기와 후유증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박현 부산대 기계공학과 겸임교수는 국내 후유증 환자들을 위한 온라인 또는 앱 서비스를 개발을 계획 중이다. 박 교수는 “후유증 환자들을 위한 기본적인 온라인, 앱 서비스 개발에 재능과 시간을 기부해주실 분들을 찾습니다”라는 내용의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했다.

▶일부 후유증은 호전되기도…”지속적 연구·관리 필요해”=코로나19 후유증 연구가 활발한 해외에서는 일부 증상에서 호전이 기대되기도 한다. 최근 오스트리아 연구진은 코로나19의 대표적 증상인 폐 손상이 시간 경과에 따라 나아질 수 있다는 중간 보고를 했다.

이들은 인스브루크대학 내과 클리닉, 세인트빈센츠 병원, 뮌스터 심폐소생술 센터에서 치료 받은 평균 연령 61세인 완치자 8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완치 후 6주 후에는 폐손상이 있는 환자가 88%였으나 12주 후에는 56%고 줄어들었다., 12주, 24주 후 CT 촬영 등 폐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호흡 저하를 호소하는 이들도 47%에서 39%로 감소했다.

외신에 따르면 연구에 참여한 사브리나 사하닉 인스부르크 대학 교수는 “코로나 완치 후에도 폐 손상이 발견된다는 건 나쁜 소식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폐 손상 정도가 완화된다는 건 반가운 소식”이라며 “이는 폐가 자가 회복 기능이 있다는 걸 의미한다”고 말했다.

폐 기능 회복 연구로 다른 후유증도 시간에 따라 완화될 것이라고 일반화하기는 아직 이르긴 하다. 다양한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가 필요한 이유다. 김우주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걸로 알려진 심장, 폐, 신장, 뇌, 혈관 등에 어떤 손상을 남기는지, 그리고 후유증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등이 연구 과제”라고 설명했다.

address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