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대 금리·연봉 두배로 나오던 신용대출 사라진다
1% 신용대출금리 ‘소멸’
연봉 두배 대출도 사라질 운명
주담대 금리는 상승 추세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앞으로 억대 연봉을 받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1%대 금리로 신용대출을 받기 어려워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으로부터 신용대출 총량을 줄이라는 지침을 받은 은행권이 우대금리를 없애거나 낮추는 방식으로 금리를 높이기로 했기 때문이다.

16일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율적 신용대출 관리 방안으로서 우선 우대금리 하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우대금리 적용 폭과 수준을 낮춰서 신용대출 총량 제한이 있더라도 이익이 줄어들지 않게 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지난 10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1.85∼3.75%(각 은행 신용대출 대표상품 기준) 수준이다. 각 은행에서 최저 금리로 돈을 빌리려면 우대금리(금리할인) 혜택을 최대한 받아야 하는데, 우대금리는 해당 은행 계좌나 계열 카드 이용 실적, 금융상품 가입 유무 등 여러 부가 조건에 따라 부여된다. 우대금리 수준은 은행 상품에 따라 다르지만, 낮게는 0.6% 정도부터 높게는 1%에 이른다. 은행권은 우대금리 폭을 줄여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지금보다 높이면 대출 증가 속도를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다른 은행 관계자도 “금융감독 당국으로부터 과도한 신용대출을 자제하라는 뚜렷한 메시지를 받은 만큼, 시중은행 모두 신용대출 위험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안다“며 ”금리에 민감한 요즘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 수단은 우대금리 조정 등을 통해 금리를 올리는 것”이라고 전했다.

연봉의 두배까지 한도로 설정됐던 현재까지의 신용대출 관행에도 제동이 걸린다. 은행권의 신용대출은 보통 연 소득의 100∼150% 범위에서 이뤄지지만, 특수직 등은 현재 은행에서 많게는 연 소득의 200%까지 빌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게 은행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예컨대 소득의 200%라고 한다면 연봉이 1억원인데 신용대출 한도는 2억원까지를 빌릴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금융감독원도 지난 14일 시중은행 부은행장(여신담당 그룹장급)들과의 화상회의에서 "최고 200%에 이르는 신용대출 소득 대비 한도가 너무 많은 것 아니냐"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 대출 규모가 클 경우엔 이 자금이 결국 부동산 투자용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크다고 금융당국은 판단한 것으로 알려진다. 은행권은 당국이 내놓은 신용대출 협의에 대해 낮은 금리로 수억원씩 자금을 빌리는 고신용·고소득 전문직의 신용대출부터 줄이라는 ‘신호’라고 해석하고 있다.

한편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국내 5대 주요 은행 가운데 우리은행을 제외한 4곳의 이날 주택담보대출 신규취급액 기준 금리가 한 달 전보다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기준금리의 상단과 하단이 함께 올랐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