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IAEA 사무총장 “北 핵 활동 지속…매우 유감”
그로시 사무총장, IAEA 이사회 개막연설
“北 안보리 결의 준수, IAEA 협조 촉구”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14일(현지시간) IAEA 이사회 개막연설에서 북한이 핵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며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IAEA 홈페이지]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14일(현지시간) 북한이 여전히 핵 활동을 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IAEA 이사회 개막연설에서 “북한의 핵 활동 지속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며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북한이 영변 원심분리기 농축시설에서 농축 우라늄 생산 징후를 보였으며 실험용 경수로 내부 공사를 지속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5MW 원자로와 방사화학연구소는 가동 징후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계속해서 “북한이 안보리 결의에 따른 의무를 완전히 준수하고 핵확산금지조약(NPT) 안전조치협정의 완전하고 효과적인 이행에 있어 IAEA에 신속히 협조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북한에 IAEA와 신속히 협력할 것과 IAEA 사찰단이 없는 동안 제기된 문제를 비롯한 모든 핵 관련 미해결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북한 핵 활동과 관련한 IAEA의 감시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계속 감시하고 있다”면서도 “우리는 현장에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북한 핵 프로그램 검증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IAEA 사찰단은 지난 2009년 북한에서 추방된 뒤 북한 핵시설에 대한 접근을 거부 당하고 있다.

앞서 IAEA는 이달 초 연례총회를 앞두고 발간한 보고서에서 북한 영변 핵연료봉 제조시설 차량 이동과 냉각장치 가동 포착 등을 근거로 북한이 원심분리기에서 농축 우라늄을 생산했다는 점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또 평양 인근 강선에서도 우라늄을 농축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북한이 같은 기간 사용 후 연료를 재처리해 플루토늄을 추출했다는 징후는 없다고 평가했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