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대북 핵무기 80개 사용검토?…靑 “우리 작전계획에 없다” 부인
우드워드 ‘격노’ 내용 반박…“국민 매우 불안”
“한반도 내 무기사용은 우리 동의 없이 불가능”
“문대통령 베를린구상 등 전쟁 불용입장 천명” 
“평창올림픽에 北 초청…평화 국면 반전시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 청와대는 14일 ‘2017년 미국이 북한에 핵무기 80개 가능성을 포함한 ‘작전계획 5027’을 검토했다’는 내용의 미국 기자의 서적에 대해 “핵무기 사용은 작전계획에 없고, 한반도 내 무기 사용은 우리나라 동의 없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밥 우드워드 기자 쓴 ‘격노’에서 ‘한반도에 핵무기 사용이 검토됐다’는 내용에 대해 반박하면서 “외국 언론인의 저작물에 대해서 청와대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는 않다고 생각하지만, 우리 국민들을 매우 불안하게 만들 우려가 있어 설명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책은 언급한 2017년 7월에서 9월까지의 기간이 매우 위험했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외신에서 공공연하게 ‘외과적 타격(surgical strike)’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등 불안감을 키웠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7월 6일 베를린 구상을 발표했다. 이는 긴박했던 당시, 전쟁 위기 타개책으로 나온 문 대통령의 언급이었다고 설명했다. 이후 문 대통령은 같은해 8.15 경축사에서 구체적으로 전쟁 불용 입장’을 천명했다. 문 대통령은 당시 “한반도에서 또 다시 전쟁은 안된다”며 “한반도에서의 군사행동은 대한민국만이 결정할 수 있고, 누구도 대한민국 동의 없이 군사행동을 결정할 수 없다. 정부는 모든 것을 걸고 전쟁만은 막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여기에서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핵무기 사용은 우리 작계에 없고, 한반도 내 무력 사용은 우리나라 동의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이라며 “그 점을 문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분명히 밝히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달 뒤인 9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 붕괴를 원치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북한에 평창 동계올림픽 초청 의사를 발신했다.

이 관계자는 “이후에도 수많은 외교적 노력이 있었다”며 “결국 북한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의사를 밝혔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결국 남북과 북미를 잇는 평화의 가교가 된 것은 여러분들은 물론 국민들도 잘 알고 계시는 대목”이라고 했다.

실제로 2018년 2월 열린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여정 당시 제1부부장 등 북한 고위급인사가 방남했다. 문 대통령은 정의용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정원장 등을 북한에 특사로 보낸 뒤 방북 결과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설명하기도 했다. 이후 ‘정의용-맥매스터 채널’을 기본 축으로 톱다운 방식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가동되기 시작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우리 정부는 정상외교를 가동했다”며 “2018년 4월 27일 제1차 남북 정상회담, 5월 22일 한미 정상회담, 5월 26일 제2차 남북 정상회담을 연이어 개최하면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궤도에 올려놓았다”고 말했다. 특히 “이러한 노력이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면서 우리 정부는 전쟁 위기를 단순히 넘기는 차원이 아니라 평화 국면으로 반전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