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공의, 8일 오전 7시 업무복귀…"의대생 구제 않으면 단체행동 강화"

단체행동을 잠정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하기로 했던 전공의들이 계속해서 집단휴진을 이어가고 있는 7일 오전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내원객들이 입장 전 사전 문진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정부의 합의에도 무기한 집단휴진을 이어왔던 전공의들이 8일 오전 7시를 기해 업무에 복귀할 전망이다. 다만, 의대생들의 국가고시 응시 가능성 여부 등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어 향후 사태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7일 오후 전체 전공의를 대상으로 진행한 간담회에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8일 화요일 오전 7시부터 단체행동을 1단계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대전협 비대위에 따르면 단체행동 1단계는 전공의 전원이 업무에 복귀하되, 1인 시위와 피켓 시위를 유지하는 내용이다.

대전협 비대위는 그러나 현재 국가고시 응시를 거부한 의과대학생들이 구제되지 않을 경우 단체행동 수위를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의대생 보호는 당연한 전제”라며 “2주 내 (의대생) 시험을 재응시시키거나 그들이 원하는 대로 연기되지 않는다면 단체행동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즉, 의대생이 불이익을 당한다면 업무 중단 등으로 강경하게 대응하겠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의대생 전원이 손해를 보지 않는 것과 모든 전공의를 지키는 건 당연한 전제”라고도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의협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의대생들이 국가고시를 응시할 수 있도록 구제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협은 “일방적인 의료 정책에 대한 정당한 항의였던 의대생의 국시 거부에 대해서는 마땅히 구제책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의협은 이들이 정상적으로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모든 방법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의협은 “지난 4일 정부·여당과의 합의가 의대생과 전공의 등 학생과 회원에 대한 보호와 구제를 전제로 이뤄진 것을 명심해야 한다”며 “이런 구제책이 없다면 합의 역시 더는 의미를 갖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의사국가실기시험의 경우 총 응시 대상 3172명 중 현재 446명인 14%의 인원이 응시할 예정이다. 정부는 추가 접수 없이 원래대로 8일부터 시험을 시행하겠다고 못 박았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