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공의들 7일 업무복귀 안한다…의대생, 국시거부
대전협 업무복귀 의결에 전공의들 '반발'
7일 오후 1시 전공의 대상 간담회 예정
의과대학생들, 의사 국가고시 거부 유지

6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임시 의협회관이 적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른쪽 출입문 보이는 곳이 전공의협의회 사무실이다. [연합]

[헤럴드경제] 단체행동을 잠정 중단키로 했던 전공의들이 오는 7일에도 집단휴진을 이어가기로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에서는 업무 복귀를 의결했으나, 현장의 전공의와 의대생 등의 반발로 무산된 것이다. 대한의사협회와 여당, 정부의 '원점 재논의' 합의로 풀리는 듯했던 의료계 상황이 다시 한 치 앞을 가늠할 수 없게 됐다.

당초 대전협 비대위는 6일 새벽 '단체행동 잠정 중단'을 의결했다. 지난달 21일부터 지금껏 무기한 집단휴진(파업)을 이어온 전공의들이 현장에 복귀하는 수순이었다.

전공의와 학생들이 각자의 자리로 복귀한 뒤 1인 시위만 진행하는 방식을 유지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리고 의협과 여당, 정부가 만든 합의안이 제대로 이행되는지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데 집중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박지현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내부 공지에서 "저희가 복귀 조건으로 외부로 공표한 것은 '철회 또는(OR) 원점 재논의의 명문화'"라며 "앞으로의 파업에서 무엇을 목표로 해야 할지 명분이 다소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의사들의 법정 단체인 의협이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부와 합의한 상황에서 더는 단체행동의 명분을 챙기기 어렵다는 판단이 영향을 끼쳤고, 의대 증원, 공공의대 설립 등을 원점에서 재논의한다는 내용이 합의문에 반영된 사정도 고려된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전공의들은 거세게 반발했다.

일선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철회' 없이는 파업을 중단할 수 없다는 목소리를 낸 것이다. 대의원이 아닌 전체 전공의의 의견을 듣는 "전체 투표를 해달라"는 요구도 나왔다.

의견이 분분해지자 결국 대전협 비대위는 왜 '파업 유보'라는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는지를 설명하는 자리를 만들기로 하고 업무 복귀 시점을 미뤘다.

박 위원장은 "내일(7일)은 복귀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한다. 7일 오후 1시 온라인으로 전체 전공의 대상 간담회를 진행하겠다"며 "모든 전공의가 참여하도록 업무 복귀 시점은 월요일 이후로 재설정하겠다"고 밝혔다.

전국 의과대 학생들도 의사 국가고시를 보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기로 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전국 40개 의과대학 응시자대표회 의결에 따라 만장일치로 의사 국가시험을 치르지 않기로 했다.

의대협 비대위가 국시 거부 입장을 유지하기로 재확인하면서 올해 의료인력 수급에도 비상이 걸렸다.

연간 3000여명 수준인 신규 의사 배출이 중단되면 수련병원의 인턴은 물론, 향후 공중보건의와 군의관 등의 모집에도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의대협에 따르면 시험을 봐야 하는 의대생의 90%가 응시 거부 의사를 밝힌 상황이다.

의사 국시 실기시험 재신청 마감은 이날 밤 12시까지다. 정부는 접수 기간을 더는 재연장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 이날까지 재신청하지 않으면 시험을 치를 수 없게 된다.

복지부는 시험 준비 기간이 부족하다는 의협과 교수, 의료계 원로들의 건의를 수용해 일부 재신청자의 시험일정을 조정해준 상태다.

다만 이러한 일정 조정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이 마음을 돌려 국시에 응시할지는 미지수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