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9호 태풍 ‘마이삭’에 1명 사망…이재민 22명·일시대피 2000명
시설피해 858건·정전피해 12만여가구
신고리 원전 4기 운영중지
“방사성 물질 유출은 없어”

3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의 한 도로에서 강풍에 철재 구조물이 넘어져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제9호 태풍 ‘마이삭’의 영향으로 1명이 숨지고 이재민 22명이 발생했다. 일시 대피 인원은 2000명을 넘어섰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마이삭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이날 오전 6시 현재 사망 1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날 오전 1시35분께 부산 사하구의 한 아파트 베란다 창문이 파손되면서 유리 파편을 맞아 다친 60대 여성이 숨졌다.

이재민은 17세대 22명이 발생했다. 강원 15명, 제주 5명, 경남 1명, 부산 1명 등으로 전원 미귀가 상태다. 일시 대피한 인원은 1505세대 2280명에 이른다. 이 중 1415명은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시설피해는 모두 858건이 보고됐다. 공공시설 피해가 295건, 사유시설은 563건이다. 사유시설 피해는 주택침수 28건, 주택파손 25건, 지붕파손 51건, 차량침수 11건, 간판파손 138건, 건물외벽 파손 44건, 선박 침몰 1건 등으로 파악됐다.

공공시설 가운데 신고리원전 4기의 운영이 일시 중지됐다. 외부 전원 이상에 따른 자동 정지로 방사능 물질 유출은 없다고 중대본은 밝혔다. 이 밖에 도로 침수 24건, 가로수 파손 11건, 신호등 파손 34건, 가로등 파손 21건, 전신주 파손 19건 등이 발생했다.

정전 피해를 겪은 가구는 모두 12만1949가구에 달했다. 이중 31.2%에 해당하는 3만7990가구는 응급복구가 완료됐으나 나머지 8만3959가구는 여전히 정전 상태다.

도로와 철도도 곳곳이 끊겼다. 부산, 경남, 전남, 대구 등에서 도로 95곳이 통제됐다. 철도는 경부선 동대구∼부산, 동해선 부전∼영덕, 영동선 영주∼강릉 구간 등 6개 노선에서 40개 열차의 발이 묶였다. 반면 지난 2일 운행이 중단됐던 부산김해경전철과 동해선(부전∼일광)은 각각 이날 오전 6시께와 오전 6시25분부터 운행이 재개됐다.

소방당국이 구조한 인원은 41명이다. 소방은 인력 1697명과 장비 448대를 동원해 2009건의 안전조치와 84건의 급·배수 지원을 했다.

youkno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