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깜깜이 환자’ 한주새 7.6배…“감염경로 역추적 못해”
24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연세대학교 공학원 입구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발생에 따른 출입 통제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뉴스24팀] 서울에서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이른바 ‘깜깜이 환자’의 수가 한 주 새 7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8월 셋째 주(16~22일) 확진자 가운데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사례는 191명이다. 같은 기간 전체 확진자(902명)의 21.2% 수준이다.

서울의 깜깜이 환자는 6월 첫째 주(5월31일~6월6일)부터 매주 10명 안팎씩 발생하다가 8월 둘째 주(9~15일) 25명으로 늘었고 셋째 주에는 1주 만에 7.6배로 급증했다.

8월 중순 성북구 사랑제일교회와 광복절 광화문 집회에서 촉발된 연쇄감염 이후 역학조사를 통해 연결고리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는 사례가 함께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랑제일교회에서 처음 확진자가 나온 이달 12일 이후 ▷안디옥교회(서울 누적 22명) ▷여의도순복음교회(〃 24명) 등 종교시설뿐 아니라 ▷FA체대입시학원(〃 30명) ▷극단 ‘산’(〃 26명) ▷둔촌어린이집(〃 15명) 등이 감염집단으로 분류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안디옥교회 등 21곳을 사랑제일교회에서 파생된 감염집단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n차 전파’가 전방위로 발생하면서 감염경로 역추적이 불가능한 사례도 적지 않다고 방역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깜깜이 환자 비율이 높았다. 확진자 진술과 휴대전화 위치추적, 카드 사용내역, 폐쇄회로TV(CCTV) 녹화 기록 등을 역학조사에 활용하는데 고령층은 기억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고 현금을 사용하는 비율도 높아서다.

실제 지난 16일 양성 판정을 받은 한 확진자는 이달 초 사랑제일교회를 방문한 이후 현금을 내고 버스와 지하철을 여러 차례 이용했다고 진술했지만 정확한 이동시간은 기억해 내지 못했다.

서울의 연령대별 ‘깜깜이 환자’ 비율은 80대 이상이 23.3%로 가장 높고 70대(18.1%)와 60대(15.8%)가 뒤를 잇는다. 반면 10대(6.5%)와 20대(7.4%)에선 깜깜이 환자 비율이 노년층의 절반 수준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