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6·17로 갭투자 막자, 3억원 이하 서울 아파트 1억 올라
갭투자 막은 6·17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 상위 단지10곳 중 6곳
2~3억원대 중저가 아파트
거래량 몰리자, 가격도 올라
3억원 밑 서민 아파트 사라지나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서울 강서구 방화동 도시개발 2단지 아파트. 이 아파트는 정부가 ‘갭투자’를 막은 6·17 대책 이후 서울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아파트(76건)로 집계됐다. 거래가 늘면서 값도 올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해당 대책 이전 39㎡(이하 전용면적)는 2억 9500만원(6월 14일, 2층)에 거래됐는데, 이달 8일에는 3억8900만원 신고가에 팔렸다. 대책 전후 1억원 가까이 오른 셈이다.

강서구 방화동 도시개발2단지 아파트 전경.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에 따르면, 6·17 대책 이후 가장 거래가 많은 아파트 단지로 집계됐다. [카카오맵]

6·17 대책 후 많이 팔린 아파트 10개 단지 중 3억원 이하 6개

정부는 지난 6월 17일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에서 3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 매수 시, 전세자금 대출을 회수하는 내용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전세 보증금을 끼고 매수에 나서는 것을 방지해 실거주 수요의 내 집 마련을 돕겠다는 취지에서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3억원 이하 아파트에 대거 매수세가 몰리면서, 저가 아파트의 가격을 크게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 실거래가)’에 따르면, 6·17 이후 가장 많이 팔린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10곳 가운데 6곳은 3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단지로 집계됐다. 이들 단지에 거래가 늘자, 값도 덩달아 올랐다.

도시개발2단지에 이어 가장 많이 팔린 아파트는 72건의 매수 계약을 맺은 강북구 미아동의 SK북한산시티였다. 해당 아파트는 3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단지는 아니나, 59㎡가 6·17 이전만 해도 6억원 아래의 중저가 단지였다. 그러나 현재는 6억원 아래 매물은 없다. 지난달 25일 6억7000만원 신고가에 팔렸기 때문이다. 대책이 나오기 전인 6월15일 중층의 매매가는 5억3000만원으로 이보다 1억4000만원이 낮았다.

사정은 67건으로 해당 기간 많이 팔린 단지 3번째를 기록한 도봉구 방학동의 신동아 1단지도 마찬가지다. 이 아파트 62㎡도 6월 대책 이전에는 3억원에 팔렸는데, 지난달 말에는 3억8500만원 신고가에 거래됐다. 집값의 30%가 갑자기 급등한 것이다.

이 밖에 노원구 중계주공 2단지, 마포구 공덕 헤리지움, 노원구 은빛 2단지 등 2~3억원대 아파트 단지들은 일제히 1억원 전후를 몸값에 보태 거래됐다.

KB국민은행 리브온에 따르면 서울 1분위(하위20%)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 초 3억7467만원에서, 6월 처음으로 4억329만원으로 4억원선을 넘겼다. 7월에는 4억2312만원으로 확대됐다. 사실상 서울 시내에서 3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가 평균 20%도 안된다는 이야기다.

초고가 아파트 숨고르기 들어가도, 중저가는 값 오를 수 있어

정부가 잡고 싶어했던 고가 아파트 값이 낮아진 것도 아니다. 송파구 잠실동 파크리오(61건, 4위)는 강남권 고가 아파트 단지 가운데 거래량 10위에 포함이 됐는데, 5개의 면적별 주택형 모두 지난달 일제히 신고가에 팔렸다.

7월 7일에는 121㎡가 24억2000만원에 최고가를 새로 썼고, 20일에는 84㎡가 21억2000만원에, 144㎡가 25억원에 각각 신고가에 거래됐다. 22일에는 59㎡가 17억5000만원에 팔리면서 가격을 높였다. 다만 아직 8월 거래건에 대한 실거래 신고는 없다.

전문가들은 초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줄 수 있다고 말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초고가 아파트는 당분간 거래 위축 속 숨고르기에 나설 수도 있지만, 시중 유동성이 워낙 많아 곧바로 급락하진 않을 것”이라며 “시장이 정부가 보낸 신호를 수용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중저가 주택의 전망은 다르다. 박 위원은 “서울 중저가 아파트의 경우, 30대의 패닉바잉(공황 매수)가 이어진다면 거래가 꾸준하고 위축 정도도 덜할 것”이라며 “적어도 연내까지 값이 상향 평준화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밝혔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