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초등생 위험한 통학 감수하라니요’…인천 송도 SK뷰 학부모들 ‘분통’
아파트 바로 앞 학교 놔두고 1.4㎞ 원거리 학교 배정
자녀들 안전 보장없는 위험한 원거리 통학에 ‘불안’
근거리 600m 송일초교 재배정 촉구
자녀들 안전한 통학을 위해 근거리 학교 재배정을 촉구하고 있는 인천 송도 SK뷰센트럴 아파트 학부모들.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 오는 10월 입주를 앞두고 있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SK뷰센트럴 아파트(299세대) 입주 예정 학부모들이 자녀들 학교 배정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가까운 학교를 놔두고 통학 거리가 두 배 넘는 원거리 학교가 배정되면서 자녀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위험한 통학’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는 학부모들은 근거리 학교 재배정 등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20일 송도 SK뷰센트럴 입주자협의회 학부모들에 따르면 내년에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는 자녀들의 학교가 입주 예정 아파트에서 약 600m 거리에 있는 송일초교가 아닌 1.4㎞ 떨어진 해송초교로 배정됐다. 이는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초등생 통학거리(거주지에서 1.5㎞ 이내)를 아슬아슬하게 지키는 거리이다.

학부모들에 따르면 배정된 해송초교는 입주 예정 아파트에서 편도로 약 40분이 거리인 데다 왕복 8차선 도로를 포함해 횡단보도 8~9개를 건너가야 하고 신호등 마저도 없다. 또 과속 단속 카메라는 보이지 않는 가운데 인근 공사장 덤프트럭이 수시로 오가는 등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위험한 통학로’라고 주장했다.

반면 아파트에서 학교 건물이 보이는 송일초교까지는 불과 5~7분이 걸리는 근거리이다. 횡단보도도 3개뿐이다.

자녀들 통학 위험이 노출되고 있는 인근 공사현장 모습.

이에 따라 학부모들은 지난 14일 관할 인천동부교육지원청을 방문해 원거리의 위험한 통학을 해야하는 해송초교 대신 근거리 송일초교로 재배정을 요청했다.

그러나 인천동부교육지원청 측은 인천시교육청에서 작성한 5년도 학생수요예측안을 근거로 내세우며 오는 2023년부터는 송일초교가 과밀이 예상되기 때문에 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이다. 또한 해송초교 배정은 이 아파트 입주자 모집 공고문 등을 통해 사전에 알린 데다 학급 과밀에 따른 학습권 침해 우려가 있다고도 설명했다.

교육청의 학생수요 예측안에 따르면 SK뷰센트럴은 299세대에 72명, 2023년 입주예정인 센트럴파크3의 경우 350세대에 110명이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실제로 SK뷰센트럴은 전평형 ‘84타입’ 이하이지만 학생수요는 30명 내외이며 센트럴파크3의 경우 40평형 초과 비율이 70%가 넘는 대형평형으로만 대부분 구성돼 있어 실제 초등학생 자녀 110명의 수치는 터무니없는 높은 수치”라며 “수치의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학급당 학생 수는 내년 기준으로 송일초교(42학급)가 26.2명, 해송초교(30학급) 27.9명으로 예측됐다. 오는 2025년에는 송일초교가 27.2명, 해송초교는 22.5명으로 바뀌게 될 것으로 교육청은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송일초교를 증축하는 방안도 건폐율 제한, 재학생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불가능하다는 게 교육청 입장이다.

동부교육지원청 관계자는 “본청인 교육청도 통학거리가 길고 학부모들이 주장하는 자녀들 통학에 위험도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학교 과밀 등으로 재배정은 어려운 입장”이라며 “입주 공고 당시 조건부라도 이 문제를 놓고 사전에 논의해 반영됐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입주자협의회는 이에 대해 “아파트 부지는 당초 상업부지에서 준상업지역으로 용도가 변경(2007년)되면서 이때 별다른 고려없이 해송초교 학구로 편입됐다”며 “해송초교는 지난 2008년에 설립됐고 송일초교는 2015년도 설립됐다. 때문에 송일초교 설립 당시 SK뷰센트럴에 대한 구획변경이 진행됐어야 하는 것이 합리적인데, 구획변경 없이 해송초교 배정이 그대로 유지됐다”고 했다. 이에 따라 아파트 바로 앞 송일초교가 아닌 원거리 통학구획을 기준으로 편성이 유지돼 입주자 모집공고에도 그대로 반영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입주자협의회는 동부교육지원청에 공동 학구 지정 등 구체적인 대책마련을 제시해 달라고 요구해 놓은 상태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