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혼남녀 과반 “코로나시대 온라인결혼, 장점 많지만 확산은 글쎄”
결혼정보업체, 미혼남녀 500명 대상 설문조사
장점 “코로나에 안전”-단점 “대면 축하 불가능”

[듀오 제공]

[헤럴드경제=윤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언택트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결혼식 또한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방식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혼 남녀 중 과반수는 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만, 정작 온라인 결혼식 활성화에는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결혼정보회사 듀오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결혼식에 대한 인식과 확산 가능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조사는 지난달 28~30일 총 500명(남 250명·여 2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경과 따르면 미혼남녀 10명 중 6명가량(57.4%)은 온라인 결혼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남성(59.6%)이 여성(55.2%)보다 온라인 결혼식에 좀 더 호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온라인 결혼식의 장점으로는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에도 안전’(27.0%)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결혼 비용 절감 기대’(25.6%), ‘시간, 장소, 날씨 등의 구애를 받지 않음’(18.6%) 등의 순이었다. 남성은 ‘결혼 비용 절감 기대’(29.6%)를, 여성은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에도 안전’(28.4%)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온라인 결혼식의 단점으로는 ▷하객들의 대면 축하 불가능(32.4%) ▷인터넷 매체를 다루기 힘든 사람은 참석에 어려움(23.0%) ▷축의금 받기가 까다로워짐(18.6%) 등을 꼽았다.

이처럼 미혼 남녀 중 과반수는 온라인 결혼식을 긍정적으로 생각했지만, 국내에 온라인 결혼식이 자리 잡기는 장애물이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실제 온라인 결혼식이 널리 확산될 지 묻는 질문에 미혼 남녀 67%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확산 불가능을 택한 남녀는 ‘손님을 대접해야 한다는 한국의 정서’(34.9%)가 온라인 결혼식이 자리 잡는 데 큰 장애물이 될 것이라 예상했다. 이어 ‘양가 부모님과 배우자 설득의 어려움’(22.7%), ‘신랑 신부가 하객의 직접적인 축하를 원함’(20.9%) 등을 이유로 꼽았다.

확산이 가능하다고 본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코로나 장기화와 다른 바이러스의 출몰(46,1%) ▷불필요한 비용 감소로 예비 부부의 높은 수요 기대(19.4%) ▷화상 회의·온라인 수업도 시행되고 있는 만큼 점차 보편화 예상(15.8%) 등을 들었다.

듀오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결혼식을 앞두고 걱정하거나, 결혼식을 미룰지 고려하고 있는 신랑, 신부가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국내의 결혼식에 대한 인식의 특성상 온라인 결혼식이 확산되는 데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youkno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