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경화 “안보는 한미동맹…경제는 개방·포용”
“더 강한 대외적 도전에 직면 가능성”
“국간 간 완충지대 약화” 대외 여건 우려도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8일 오후 서울 외교부에서 미중 갈등 상황을 평가·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제3차 외교전략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우리 정부의 외교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외교전략조정회의에 나선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미중 경쟁 등 동아시아를 둘러싼 복잡한 외교 상황 속에서 “더 높아진 강도의 대외적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강 장관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한 안보 정책과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경제통상 정책 기조를 주문했다.

강 장관은 28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제3차 외교전략조정회의 모두발언에서 “국익과 원칙에 기반한 일관된 정책기반을 선제적으로 확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의 외교정책을 4개 지향점으로 나눠 강조한 강 장관은 “안보 분야에서는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안정의 주춧돌인 한미동맹을 굳건히 다져나가면서 역내 안정성이 강화되도록 우리의 건설적 역할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경제 분야에서는 “공정하고 호혜적인 동시에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방향으로 규범 기반 접근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했고,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전략적 개방성을 견지하는 가운데, 기술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 병행’을 강조했다. 가치 규범 분야에서는 ‘인류가 공동으로 추구하는 가치를 실질적으로 증진하는데 기여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국가간 갈등을 조정하고 해소시켜주던 기존의 완충지대와 연결고리가 약화 돼 가고 있다”며 최근 외교 환경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강 장관은 경제 분야를 넘어 안보 분야에서 대립 중인 미국과 중국을 의식한 듯 “사소한 마찰도 격한 충돌로 확대될 수 있는 건 물론, 타협점을 찾고 협력을 모색하는 게 더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된다. 우리는 보다 이른 시점에. 더 높아진 강도의 대외적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에 대해 엄중히 인식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회의에는 강 장관을 비롯한 외교부 주요 당국자와 함께 통일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국방연구원 등이 함께 자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중 갈등 상황을 평가ᆞ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동시에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외교 정책 수립 방안을 논의한다.

외교전략조정회의는 급변하는 대외 상황 속에서 우리 정부의 외교정책을 수립하고 정부와 민간의 유기적인 대응을 지원해나가기 위해 지난해 7월 출범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