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동산·박원순 악재…브레이크 고장난 ‘文지지율’
대북교착에 인국공·부동산 겹쳐
여권 젠더의식 부족에 30대 ‘실망’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지지율의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역전하는 ‘데드크로스(dead cross)’ 현상이 심상치 않다. 이번 지지율 하락은 남북관계 교착·부동산 정책 논란·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망 사건 등 악재가 겹치며 나온 결과로, 빠른 분위기의 전환 없인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날 리얼미터가 지난 13~15일 사흘간 성인남녀 15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결과한 발표에선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이 전 주에 비해 4.6%포인트 떨어진 44.1%(매우 잘함 24.5%, 잘하는 편 19.6%)로 집계된 반면 부정평가는 5.2%포인트 오른 51.7%(잘못하는 편 17.1%, 매우 잘못함 34.6%)를 기록했다.

이날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지난 14일~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결과에선 ‘잘 하고 있다’가 46%, ‘잘 못하고 있다’가 43%를 기록했다. 부정 이유로는 ‘부동산 정책’,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 ‘북한 관계’, ‘독단적/일방적/편파적’, ‘공정하지 못함/내로남불’, ‘박원순 성추행 의혹·장례 문제’ 등이 꼽혔다.

다수의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지지율 하향곡선의 시작점은 김여정 담화가 발표된 6월 셋째주다. 6월 말·7월 초엔 ‘인천국제공항(인국공) 비정규직 정규직 논란’과 ‘부동산 집값 상승’이 연달아 터지며 50%대이던 지지율이 40%대로 하락했다. 박 전 시장의 죽음과 성추행 의혹도 여론에 충격을 안겼다. 다만 아직 회복 불가능한 정도까지 이른 건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문 정부가 새로이 내세우는 한국형 뉴딜정책, 코로나19 보호안전 정책 등이 실현되고 공수처 설립이 완료되면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수치”라고 말했다.

전날 대법원이 허위사실 공표 혐의에 대해 무죄 취지로 판결하며 도지사 직을 유지할 수 있게 된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여권의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홍승희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