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콩보안법’·‘장기집권 개헌’으로 통한 시진핑·푸틴…“외부 간섭 단호히 반대”
시진핑·푸틴, 8일 전화 통화…각각 中 홍콩보안법·露 개헌 지지
미·중 갈등 전방위적 확대로 중·러 ‘밀월’ 관계 강화
8일(현지시간)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전화 통화를 통해 “양국이 서로 굳건히 지지하면서 함께 외부의 간섭에 단호히 반대하자”는데 동의했다. 사진은 지난해 6월 모스크바에서 만난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악수하는 모습. [로이터]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과 장기 집권의 길을 연 ‘개헌’을 통해 각각 내부 권력·통제 구조 다지기에 나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을 겨냥, 내정에 대한 외부의 간섭에 반대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8일(현지시간)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전화 통화를 통해 “양국이 서로 굳건히 지지하면서 함께 외부의 간섭에 단호히 반대하자”는데 동의했다.

시 주석은 “두 나라가 각자의 국가 주권과 안보, 발전 이익을 수호하고 쌍방의 공동이익을 지켜야 한다”며 “러시아와 함께 패권주의와 일방주의에 반대하며, 다자주의 수호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러시아 크렘린궁은 이날 보도문을 통해 중국 측의 요청으로 푸틴 대통령이 시 주석과 통화했다고 밝혔다.

이날 푸틴 대통령은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에 대해 지지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중국이 홍콩에서 국가 안보를 수호하는 노력을 확고히 지지하며, 중국의 주권을 훼손하는 어떤 도발 행위에도 반대한다”고 말했다.

8일(현지시간)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을 감독하고 지도하는 조직인 ‘중앙인민정부 홍콩 주재 국가안보공서’의 현판이 홍콩 코즈웨이베이 지역의 메트로파크 호텔에 걸려있다. 이곳은 홍콩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 불리는 곳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다.[EPA]

이는 중국 정부가 홍콩보안법 제정에 대한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의 비판을 “내정 간섭”이라고 반발하는 것에 러시아 정부가 나서 힘을 실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시 주석도 2024년 푸틴 대통령의 대선 재출마를 허용한 헌법 개정안에 대해 찬성한다고 화답했다. 그는 “최근 개헌안이 국민투표에서 통과된 것은 대중적 지지를 입증한 것”이라며 이 조치가 러시아의 국가적 특성 강화 및 안정적 정치·경제 발전에 큰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크렘린궁은 두 정상의 통화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처하는 어려운 시점에 이뤄진 두 나라의 상호 지원이 양국의 포괄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보여주는 확실한 징표였다는데 견해를 같이했다고 했다. 크렘린궁 관계자는 "두 정상은 주권 수호와 내정 간섭 불용, 국제법 규정 우위 보장 등을 위한 확고한 공조 의사를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최근 중국은 미국과의 전방위적 충돌이 가속화하면서 러시아와 더욱 밀착하고 있다.

두 정상은 앞서 지난 4월과 5월에도 통화했었다.

중국 인민해방군 의장대가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 제2차 세계대전 승전 75주년을 기념하며 열린 러시아의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에서 행진하고 있다. [EPA]

또, 중국은 지난달 24일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 제2차 세계대전 승전 75주년을 기념하며 열린 러시아의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에 대표단과 105명의 의장대를 보내며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과시했다. 당시 시 주석은 “러시아가 세계 평화를 단호하게 보호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 주석의 첫 해외 방문지가 러시아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오는 21~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상회담’과 ‘상하이협력기구(SCO) 안보회의’에 참석차 러시아를 방문하는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도 어느 때보다 높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