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15년 뒤 사대문 내 내연기관차 통행 금지
박원순 서울시장 ‘그린뉴딜’ 발표…22년까지 2조6000억 투입
건물·수송 등 5대 분야 집중해 2050년 ‘탄소배출 제로’ 도시로
박원순 서울시장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은 2035년부터 서울 사대문안 녹색교통지역 내 내연기관 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2050년부터는 서울 전역에 내연기관 차량 운행 금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보행친화도시를 넘어 그린 모빌리티 시대를 연다는 목표다.

박 시장은 8일 서울시청에서 ‘서울판 그린뉴딜’의 전략을 발표하면서 2022년까지 2조6000억원을 투입해 그린뉴딜의 표준모델을 완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서울판 그린뉴딜의 전략은 ▷건물 ▷수송 ▷도시숲 ▷신재생에너지 ▷자원순환 5대 분야를 집중 추진해 경제위기와 기후위기에 동시에 대응하고 사람·자연, 미래가 공존하는 살기 좋은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우선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의 68.2%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 분야’는 모든 건물을 에너지 효율이 높은 그린 건물로 바꾸는 체질개선을 본격화한다. 공공건물부터 선도적으로 시작하고 민간건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예컨대 경로당, 어린이집, 보건소 같이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노후 공공건물 241개소부터 에너지 효율을 제로에너지건물 수준으로 높이는 ‘그린 리모델링’을 2022년까지 2400억원을 투입해 진행한다. 아울러 내년부터 연면적 1000㎡ 이상인 시 공공건물은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하는 ‘건물온실가스총량제’도 도입한다. 민간 신축건물에 대한 ‘제로에너지건축(ZEB) 의무화’도 정부 로드맵보다 2년 앞당겨 2023년 시작한다.

‘수송 분야’는 2050년까지 서울의 모든 차량을 친환경 전기·수소차로 바꿔나간다는 목표다.

시내버스의 경우 2021년 교체 차량부터 의무화해 2025년까지 전체 시내버스(7396대) 절반 이상인 4000대를 전기·수소차로 전환하고 택시는 2030년 교체 차량부터 의무화 도입을 목표로 보조금 확대, 친환경 차량 차령 확대 등 지원정책을 마련한다.

특히 2035년부터 전기·수소차만 등록할 수 있도록 법령 개정을 정부에 건의해 내연기관차의 사대문 안 통행을 제한하고 2050년부터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에 ‘대기환경보전법’ 등 관련법 개정을 요청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2025년까지 22개 ‘도로 다이어트’를 통해 보행자 공간을 대폭 확대하고 따릉이 등 친환경 교통 인프라를 강화해 자동차 수요를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서울시가 추진 중인 ‘3000만 그루 나무심기’를 2022년까지 완료해 안전한 그린 쉼터로서 공원의 역할을 강화하고 상하수도시설, 도시철도시설 등 공공시설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한다고 했다. 특히 폐기물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고 발생된 폐기물은 자원화하는 ‘순환경제’를 통해 2025년까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를 실현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 과정에서 ‘그린뉴딜’ 산업을 부흥시켜 2022년까지 총 2만6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박원순 시장이 ‘CAC 글로벌 서밋 2020’에서 선언한 ‘2050년 탄소배출 제로(Zero) 도시’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박원순 시장은 “포스트코로나 시대로 가는 문명 대전환의 기로에서 우리 자신과 지구, 인류생존을 위한 미래전략인 ‘서울판 그린뉴딜’을 과감하게 추진해 탈탄소 경제·사회로의 대전환을 본격화하겠다”며 “지난 8년 간 지속가능성의 시대로 나아가는 체력을 키웠다면 이제는 체질을 완전히 바꾸는 혁명적 변화를 통해 그린뉴딜의 글로벌 표준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발표한 모든 정책들이 그린뉴딜이라는 큰 틀 아래서 유기적으로 실행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기후생태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역할을 부여한다고 했다.

cho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