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항공산업 발전조합 설립 추진…“위기대응능력 강화”
항공기 리스비용 절감·경영자금 대출 등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항공사의 장기 경쟁력 확보와 위기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항공산업 발전조합’이 내년 설립된다.

국토교통부는 26일 10개 국적 항공사와 한국·인천공항공사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해 이런 내용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0개 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플라이강원, 에어인천 등이다.

인천국제공항에 대기 중인 항공기의 모습 [연합뉴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국제노선 운항이 중단되면서 항공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위기대응능력 강화가 절실하다는 공감대 하에 항공조합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각 항공사는 조합원으로 참여해 재원조달에 이바지하게 된다. 다만, 현재 항공산업이 전례 없는 불황을 겪고 있어 운영 초기(2021~2023년)에는 항공사가 마련할 수 있는 재원 규모에 따라 정부 출연 여부도 검토한다. 출자액은 항공산업 회복에 따라 점진적으로 인상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조합은 항공사가 항공기를 도입할 때 리스사(운용리스)와 금융기관 융자(금융리스)에 대한 지급 보증을 제공해 항공기 리스비용을 절감해준다. 항공사는 이를 통해 영업비용의 약 15%를 차지하는 항공기 리스 조달·이자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합은 또 항공사가 일시적인 경영위기에 빠졌을 때 경영자금 대출과 자산 유동화를 지원하게 된다. 아울러 신산업과 중소기업에 투자하기 위한 항공산업 발전펀드를 조성, 산업 내 상생과 생태계 유지를 위한 재원을 마련한다.

김상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항공조합은 우리 항공산업의 기초체력과 대외경쟁력 강화를 위한 금융환경 조성의 발판이 될 것”이라며 “향후 재원조달 등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y2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