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176석 거여 맞설 원내전략 속수무책

전문가 “뾰족한 수단없다”면서도 각론 분분

초강경론·실리론…“정기국회까지” 절충론도

“총사퇴 투쟁” vs “실리 챙겨야”…野 돌파구, 전문가도 ‘분분’
21대 국회 첫 상임위원장 선출을 위해 15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의사진행발언을 마친 뒤 통합당 의원들의 빈자리 옆을 지나고 있다. 이날 주 원내대표는 사의를 표명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176석 거대여당에 맞서는 미래통합당이 속수무책이다. 단독개원부터 원 구성 협상까지 21대 국회 출범 초기부터 속절없이 밀리는 상태다. 문제는 앞으로다. 압도적 과반을 상대할 방안이 마땅치 않다.

돌파구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의견이 엇갈린다. 19일 헤럴드경제가 전문가 의견을 취합한 결과, 대다수는 “뾰족한 탈출구는 없다”고 입을 모으면서도 각론에서는 의견이 분분했다. “의원직 총사퇴 후 월급 받지 말고 싸우라”는 초강경론이 나오는가 하면, “지금이라도 실리를 챙기고 정책으로 싸워야 한다”는 실리론이 맞붙는다. 오는 9월 정기국회까지 버티다가 이후 정책투쟁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절충론도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어차피 국회 내에서의 투쟁은 안 되는 상황이니 일단 의원직 총사퇴를 하고 (국회의원) 월급을 받지 말아야 한다”며 “상대가 무릎 꿇으라 한다고 무릎을 꿇고 나서는 무슨 야당 노릇을 하겠나”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분간은 통합당이 스탠스를 정했다면, 일관성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며 “지금 (국회에) 들어가는 것은 모양새도 안 좋을뿐더러 상대의 논리를 인정해주는 것 밖에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통합당의 선거 패인 분석과 향후 대책을 논의하는 ‘제21대 총선 백서 제작 특별위원회’의 부위원장이기도 하다.

반면,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발상을 전환해 작지만 실리를 챙기고 빨리 국회를 정상화 시켜서 정책 아젠다로 당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줘야 한다”며 “통합당은 정책의제를 가지고 국민의 관심을 받아야지 태클, 몽니로 관심 받으면 도저히 176석을 이길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오히려 통합당이 먼저 나서 법사위 개혁을 얘기하고 예결위로 정부를 감시하겠다면서 국토위, 과방위 등을 받는게 명분 있었을 것”이라며 “지금 통합당은 국회 안에서 3차 추경, 공수처 출범 때 명분 있는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총사퇴 투쟁” vs “실리 챙겨야”…野 돌파구, 전문가도 ‘분분’
21대 국회 첫 상임위원장 선출을 위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본회의가 열렸다. 본회의장 앞에서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여당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통합당이 적어도 정기국회가 열릴 때까지 버텨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통합당은 자기 주장을 계속하며 정기국회가 열릴 때까지 버티다가 정기국회에 들어가 정책, 국정감사 등으로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통합당 일각에서 남북관계 위기에 따른 등원론이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국회가 기능해서 안보 문제가 해결되고, 국회가 못해서 안보가 위험에 빠지는 것이 아니다”며 “민주당은 자신들의 최대 상품인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깨진 것에 대해 전 국민이 궐기를 보여주고 싶어하는데 거기에 들러리 설 필요 없다”고 짚었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도 “지금은 북한 이슈로 야당이 싸운다고 해서 언론 보도 등으로 주목받기 힘들다”며 “야당으로서는 시간을 보고 정기국회까지 기다리다가 정기국회가 열리면 못이기는 척 들어가 정책을 주고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여론이 올라오면 여야 양쪽 다 압박을 세게 받을 것”이라며 “다음주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본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