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술사업화 활성화, 실증연구 확대에 달렸다”
- STEPI, ‘실증연구 없는 기술사업화는 가능한가?’ 보고서 발간
공공 연구기관의 R&D 성과를 기술사업화로 연계하기 위해서 실증연구 확대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R&D) 성과를 기술사업화로 연계하기 위해 실증연구 모델을 확대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6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실증연구 없는 기술사업화는 가능한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기술사업화 과정의 기술 불확실성을 줄이고, 시장 진입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이지만 연구계, 산업계, 정부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실증연구 확대를 제안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해서는 연구개발 성과의 스케일업과 현장적용성 및 기능구현성을 검증하는 실증 수행이 필수적이다.

R&D 투입을 통해 중간 지식성과로 논문, 특허 등을 확보하면, 이를 기반으로 현장 구현성 등의 검증을 통해 시장 진입 및 성장이라는 혁신성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검증과정을 실증연구로 수행할 수 있다고 것이다.

또한 R&D로 창출된 기술의 사업화 성공 기준을 주체별로 다르게 접근하고 있어 주체에 따라 성공 판단 시점에 차이 발생하고 연구계가 이전한 기술과 산업계가 부가가치 창출하는 기술이 일치하지 못하면 기술사업화 성공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기술의 성숙도 차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실증연구 과정이 필요하며 연구계, 산업계, 관련 거점 주체 및 정부 등의 협력적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GDP 대비 높은 R&D 투자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술에 대한 낮은 신뢰성, 저성장 극복 솔루션 확보를 위한 혁신투자에도 불구하고 부가가치로 연결하는 시스템의 부족, 그리고 혁신을 위한 R&D 필요 인식에도 불구하고 R&D투입과 성과창출 주기 상에서 활동하는 주체들이 갖는 혁신 참여 유인의 격차가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와 함께 실증연구 활성화를 위해 실증연구 가치에 부합하는 재원 및 정책지원 확대, 평가 환경 조성의 필요성과 실증연구 시행의 효율화를 위한 내부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관련 부처 간 사업 및 정책 연계 강화 필요성을 전했다.

실증연구의 제한요인은 극복하고 활성화요인은 제고할 수 있는 대안으로 ▷실증연구 단계 구축 ▷R&D 단계에 필요 실증연구 도입 ▷R&D 후속연구 단계로 실증연구 도입 등을 제시했다.

손수정 STEPI 연구위원은 “R&D 성과에서 기술사업화 성과로의 전환에 실증연구가 기여하는 바가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 제도 안에서 적절한 지위를 찾지 못하고 있다”면서 “연구성과가 기술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실증연구 확대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