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슈아 웡 “촛불 보고 희망 얻어”…류호정 “87년 한국과 지금 홍콩 닮았다”
네이선 로 “영화 1987, 택시운전사 홍콩 시민에게 희망 줘”

류호정 정의당 의원(왼쪽)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홍콩 민주화 시위를 주도하는 데모시토스당의 조슈아 웡 비서장(가운데), 네이선 로 주석(오른쪽)과 화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류호정 정의당 의원과 홍콩 민주화 시위의 주역 조슈아 웡 데모시스토당 비서장이 화상 전화로 만났다. 웡 비서장은 “한국의 촛불집회를 보고 용기를 내 범죄인 인도 송환법 철회를 이끌어냈다”고 전했다.

10일 국회에서 웡 비서장은 류 의원과의 화상 전화에서 “한국은 23번의 대규모 촛불집회를 해 대통령을 파면했다”며 “이를 보며 3개월을 버텨 시진핑 법안을 철회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웡 비서장은 “5·18 민주화 운동을 ‘광주 사태’라고 표현했다는 일부 국내 보도를 보고 어땠느냐”는 류 의원 질문에 “일부에서 내가 한국 정부를 비판하는 모습으로만 비춰졌다”며 “한국 언론은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목숨 걸고 알린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와 같은 심정으로 홍콩의 상황을 알려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웡과 함께 화상 전화에 나선 네이선 로 주석은 “홍콩 시민들은 영화 1987, 택시운전사 등을 보고 잔혹한 정권의 폭력에 맞서 시민들이 맞서는 모습에 용기를 받았다. 지금 홍콩의 민주화 운동은 아직 시작이지만 앞으로 더 많은 폭력이 있을텐데 계속 노력하고 힘내겠다”고 밝혔다.

류 의원은 “오늘은 6·10 민주화 항쟁 기념일”이라며 “1987년 한국의 모습과 현재의 홍콩에 닮은 점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어 “홍콩 시민들도 끝내 민주주의를 쟁취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은 겨울이지만 홍콩에도 봄이 올 것”이라고 위로의 말을 전했다.

화상 전화는 중간에 수차례 연락이 끊기기도 했다.

류 의원은 화상 전화가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미·중 사이의 입장이 있기 때문에 정부가 홍콩 사태에 대해 입장을 내지 못하는 걸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경제적 이익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홍콩에 대해 발언을 쉽사리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홍콩 시민이 전 세계에 연대를 요청하는 상황에서 대답하지 않을 수는 없었다”고 밝혔다.

h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