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성장률-물가 동반 하락…‘코로나19’發 디플레 ‘스멀스멀’
유가하락·정책효과·수요위축 등 3중苦에
마이너스 물가로 산업전반 악순환 현실화
경기후퇴→수요부진→물가하락→생산위축
디플레 초입단계 진입 양상에 우려감 증폭

통계청이 2일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 동향’은 ‘코로나19’ 쇼크로 실물경기가 극도로 위축된 가운데 물가까지 하락하면서 우리경제에 최악의 디플레이션(deflation) 그림자가 더욱 짙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9개월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국제유가 하락 ▷공공서비스 등의 정책 효과 ▷코로나19로 인한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세 둔화 등 3박자가 복합돼 나타난 것이지만, 그 근저엔 경기위축에 따른 수요부진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물가 하락 또는 물가 상승세 둔화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이라며, 물가 하락에 따른 생산 위축 등 악순환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총수요 확대 등 정책적 노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코로나19의 불확실성과 인구 및 고용 감소에 따른 총수요 감퇴 압력은 더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 디플레는 아니더라도 디플레 초입단계에 진입하는 양상이 뚜렷해지는 셈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하락한 데에는 무엇보다 국제유가 하락이 큰 영향을 미쳤다. 1년 전 배럴당 60~70달러 선에서 거래됐던 원유가격은 코로나19가 터지면서 수요가 위축돼 한때 마이너스로 추락하는 등 급락세를 보였다. 최근에는 3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하락 압력은 여전한 상태다.

이로 인해 지난달 국내 석유류 가격은 1년 전보다 18.7% 하락해 전체 물가를 0.82%포인트 끌어내리는 역할을 했다. 물가하락에 결정적 역할을 한 셈이다.

유종별로 경유 가격이 23.0% 하락했고, 휘발류(-17.2%), 자동차용 LPG(-14.4%), 등유(-16.3%) 등 모두 두자릿수의 큰폭 하락세를 보였다.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 전체 물가는 2.0% 하락해 전체 물가를 0.65%포인트 끌어내렸다.

이와 함께 정부와 지자체의 공공요금 인하와 복지확대 등으로 인한 공공서비스 물가의 하락도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공공서비스 물가는 1.9%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끌어내렸다. 고등학교 무상교육 확대, 유치원 납입금 지원, 지자체의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이 이어진 때문이다.

가격이 큰폭 하락한 석유류와 공공서비스의 전체 소비자물가 영향은 -1.09%포인트에 달했다.

여기에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세가 크게 둔화된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외식 물가는 0.6% 올랐다. 예년의 외식 물가 상승률이 2% 안팎이었던 점에 비춰 볼 때 3분의1 수준에 머문 것이다. 공공·개인서비스를 포함한 전체 서비스 물가는 0.1% 오르는데 그쳐 외환위기 당시인 1999년 12월(0.1%) 이후 약 21년 4개월만의 최저 상승폭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들 요인을 다시 분해해보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총수요 위축이 자리잡고 있다. 국제원유 가격이 하락한 것은 글로벌 원유 수요 위축 때문이며, 외식 등 서비스 물가 상승폭이 둔화된 것도 수요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국내외 수요 위축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물가 하락 압력을 높인 셈이다.

경제 내부의 인플레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변동성이 큰 석유류와 농식품 등을 제외하고 산출하는 근원물가도 0%대 초·중반에 머물고 있다.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지난달 0.5% 올랐고, 여기에서 축산물·가공식품을 제외하고 산출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근원물가는 0.1%에 머물렀다.

경기침체 속의 물가하락을 의미하는 디플레에 처하면 경기후퇴→총수요 위축→물가하락→기업수익 감소→생산위축의 악순환에 빠져들게 되며, 통화·재정정책의 효과도 급격히 감퇴한다.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우리경제가 디플레 초입에 접어든 양상으로, 경제상황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이해준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