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유튜브로 본 정치]“구독·좋아요 목매지 마라…신뢰 없으면 민주사회 毒”
‘비대면 정치의 미래’ 전문가 제언

‘비대면 정치’와, ‘비대면 정치’의 제1 플랫폼으로 떠오른 유튜브의 미래는 어떨까? 정치인과 유권자들을 잇는 민주주의의 새로운 의사소통 채널이 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유튜브의 중요성과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입을 모아 긍정했으나 역기능과 부작용에 대한 지적도 적지 않게 했다.

정낙원 서울여대 언론영상학과 교수는 유튜브 정치 확산은 당연하다고 예측했다. 정 교수는 “허위조작정보에 대해 처벌가능한 법적 근거가 아직 없다”며 “의원이 규제받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 얘기를 할 수 있으니 유튜브는 필수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웬만한 기성 언론보다 확장성이 더 좋다는 점도 유튜브의 전망을 잘 설명한다”고 덧붙였다.

하재근 대중문화평론가는 “당장은 코로나19 때문에도 있겠지만 유튜브 영향력은 계속 커져왔고, 점점 더 커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유튜브에선 극단적이고 사실관계가 부정확한 콘텐츠가 인기 있어 정치인들도 거기에 편승한다”며 “선거에서 이익을 못얻고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총선으로 입증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치 유튜브의 한계에 주목했다. 신 교수는 “유튜브는 확증편향을 강화하는 역할만 할 뿐”이라며 “(유튜브가) 선거에 실제로 영향을 주려면 ‘스윙보터’‘즉 중도층에 영향을 줘야하는데 유튜브가 가진 확증편향 때문에 중도층에 영향을 주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신 교수는 “국회의원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의 한계는 분명하다”며 “국회의원이 정보를 사실로 만들 능력은 없다”고 유튜브의 영향력을 일축했다. 이어 그는 “의원이 게이트키핑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단순한 정보전달 역할만 해야한다”고 내다봤다.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은 현실정치에 대한 고민이 선행될 때 유튜브 정치도 발전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오 위원은 “알고리즘 추적 결과 극우·극좌 콘텐츠의 경우 기성 언론에서 특정 인물이나 사안에 대해 보도된 이후 사용자들의 구독이나 검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며 “유튜브가 성행 할수록 기성 언론과의 관계가 밀접해지는 딜레마”라고 분석했다.

이어 전문가들은 정치인 유튜브 채널의 관건은 ’신뢰‘라고 조언했다.

정 교수는 “(유튜브발) 허위조작정보는 국가 전반의 신뢰를 떨어뜨려 엄청난 사회적 손실을 야기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정치인은 ’아님 말고 식의 담론을 퍼뜨릴 게 아니라 합리적인 아젠다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하 평론가는 “후보들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평소에 진정성이 담긴 콘텐츠를 만들어 유권자들과 신뢰관계를 형성해야 효과가 있다”며 “선거 때 반짝 하고 극단적인 말을 하거나 네거티브를 내세우면 효과가 적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평론가는 “1분이라도 정치인 유튜브를 봐야하는 지에 대한 설득이 필요하다”며 “쇼맨십을 발휘할게 아니라 공감능력을 활용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구 문제나 소관 상임위의 핵심 내용을 유튜브라는 매체에 맞는 방식으로 간결하고 알기쉽고 임팩트 있게 설명해 신뢰성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용재·홍승희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