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DMZ 세계유산 등재 잰걸음…통일차관 대성동마을 방문
문화재청 실태조사 돌입…유엔사 등과 협력
北 ‘반통일ㆍ반민족 행위’ 부정적 반응 변수
정부의 비무장지대(DMZ) 평화지대화 구상 실현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통일부는 25일 서호 차관이 26일 문화재청 조사단과 함께 DMZ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대성동 마을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이 추진하는 DMZ 문화재 실태조사 지도. [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정부의 비무장지대(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북 공동등재를 위한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통일부는 서호 차관이 26일 문화재청 조사단과 함께 DMZ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대성동 마을을 방문한다고 25일 밝혔다.

정부는 한반도의 동서 생태축과 한국전쟁 격전지 등 역사적·생태적·문화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 DMZ와 관련해 대성동 마을을 시작으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거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대성동 마을은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될 때 남북이 DMZ 내 민간인이 거주할 수 있는 마을을 하나씩 두기로 합의한데 따라 조성됐다.

통일부는 “차관은 이번 방문을 통해 문화재청의 전반적인 실태조사 계획을 청취하고 격려하는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며 “향후 국방부, 유엔군사령부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문화재청의 실태조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조사단의 안전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상황 등을 감안해 방역에 만전을 기하면서 조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마스크 착용과 방역대책 준수 등 조치를 마련하고 군 병력의 경호 등 조사단의 안전을 위한 대책도 수립했다.

앞서 김연철 통일부장관도 지난 6일 판문점과 DMZ 평화의 길 파주 구간을 방문한 바 있다.

문화재청의 조사가 시작됨에 따라 DMZ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은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DMZ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은 문재인 대통령이 작년 9월 유엔총회에서 발표하면서 가시화됐다.

DMZ 가치와 의미를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이 일대의 지뢰 제거, 국제평화협력지구 조성 등을 통해 갈등과 대립의 상징인 DMZ를 평화와 협력의 공간으로 탈바꿈한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최근 판문점선언 2주년 당일 주재한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와 취임 3주년 특별연설 등 계기에 남북 방역협력과 남북철도 연결, 이산가족상봉, 북한 개별관광 등과 함께 DMZ 국제평화지대화를 독자적 남북협력사업으로 거론한 바 있다.

다만 북한은 DMZ 국제평화지대화에 대해 선전매체 등을 내세워 민족사적 불행을 간직한 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내세우는 것은 반민족적, 반통일적 범죄행위라며 ‘쓸개빠진 망동’이라고 폄하하는 등 부정적 인식을 보이고 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